기술동향
인구고령화에 따른 시니어케어 디지털 기술 동향
- 등록일2021-08-20
- 조회수4690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08-18
-
출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구고령화# 시니어케어# 디지털 기술 동향
- 첨부파일
인구고령화에 따른 시니어케어 디지털 기술 동향
◈목차
I. 서론
II. 시니어케어 디지털 기술 적용 분야
III. 시니어케어 디지털 기술 및 산업 동향
IV. 결론
◈본문
I. 서론
국내 인구고령화 문제는 2000년 초반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기 시작하였으며, 실버산업 또한 시장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실버산업은 협의적으로는 노인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라 할 수 있으며, Silver, Elderly, Gray, Senior market 등으로 통칭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실버산업 육성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고령 친화산업진흥법’을 법률 8852호로 제정하여 2008년 2월 29일 시행하였다.
동법에 따르면 ‘고령친화산업’은 고령친화제품 등을 연구, 개발, 제조, 건축, 제공, 유통 또는 판매하는 사업 을 뜻한다. 이 중 ‘시니어케어’ 산업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요양 서비스를 주로 의미하여 고령자를 위한 용구나 용품 또는 의료기기 사업을 통칭하여서도 사용된다.
실버산업이 최근 국가적 아젠다로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저출산과 맞물린 고령 사회의 도래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급속한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증대로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여 ([그림 1] 참조) 국가는 사회 경제적으로 큰 위기상황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고령화로 인한 국가 생산력 감소, 치매 등 사회적 문제해결에 디지털 기술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시니어케어 분야의 디지털 기술과 산업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II. 시니어케어 디지털 기술 적용 분야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시니어케어 시장에서도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이 주요 아젠다로 부상하고 있다. 사람은 고령화가 진행되면 더 이상 젊었을 때와 같은 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여러 측면에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고령자의 심리적, 신체적 변화([표 1] 참조)에 초점을 맞춰 빅데이터(Big data), AI(Artificial Intelligence), IoT(Internet of Things), 클라우드(Cloud Computing)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1. 신체 지원
신체적 욕구는 사람들이 노화하면서 가장 기본적으로 생겨나는 욕구이며, 저하된 운동 능력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디지털 기술로는 보행보조로봇, 케어로봇을 들 수 있다[1]. 시니어 케어로봇에 대한 개발은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 AI 기술 발달로 자율주행, 환자 와의 자동응답, 대화 기능이 확대, 적용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ISSCR 2021 학회 참가기
-
다음글
- 전사의 기계적 조절: 최신 동향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