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특별관심 이상반응 관련 질환의 10년간 발생 현황
- 등록일2021-08-26
- 조회수4427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08-26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첨부파일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특별관심 이상반응 관련 질환의 10년간 발생 현황
◈목차
들어가는말
몸말
맺는말
◈본문
들어가는말
코로나바이러스-19(이하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시작되면서 백신 개발 단계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다양한 종류의 이상반응 발생 의 심 사 례가 보 고 되 고 있으 며 , 우 리나 라 를 비롯한 세계보건기구(W H O),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 DA), 유럽 의약품안전청(EMA) 등에서도 모니터링 결과를 반영한 새로운 이상반응 종류를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예방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근거를 논의하는 국제백신안전성 연구네트워크인 Brighton Collaboration1)에서도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한 이상반응을 지속 검토하면서 특별관심이상반응(Adverse Events of Special Interest, AESI)2)에 새로운 이상 반응을 추가하고 발생여부를 관심있게 관찰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 는 2 0 2 1년 2월 2 6일 코 로나 1 9 예방접종 을 시작하였으며, 허경민 등[1]은 코로나19 백신 사용 승인 단계에서
확인된 이상반응 질환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초기에 제기된 혈전증 관련 질환에 대한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자료를 분석하여 국내 기준 발생 예측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행하면서 접종 초기에는 확인되지 않았던 새로운 이상반응 발생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내ㆍ외 권고를 바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안전성 서한을 배포하고 있고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예방접종의 이상반응 관리지침에 해당 질환을 특별관심이상반응으로 추가하여 이상반응 발생 감시 등에 보다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2, 3].
이에, 최근 국내ㆍ외에서 주요하게 논의하고 있는 혈소판감소성혈전증, 심근염, 심낭염 등 심장 관련 질환, 대상포진 등 질환에 대해 우리나라의 기준 발생률을 파악하고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과거 10년간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자료원인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는 의료기관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비용 청구를 목적으로
제출한 자료로 청구자료 특성상 일부 진단명이 부정확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전국민 건강보험체계에 따른 전국민을 대표하는 자료로 질환의 시계열적 발생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원으로 알려져 있다[4].
이 원고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특별관심이상반응 중 최근 들어 주요하게 모니터링 하고 있는 혈소판감소성혈전증, 심근염/심낭염, 대상포진과 관련한 13개 질환에 대해 지난 10년간 질환 발생 현황을 제시하여 향후 코로나19 백신
이상반응 발생 현황과 비교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몸 말
1. 자료원 및 산출기준
지난 10년간 질환 발생현황 산출을 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는 요양기관에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지급을 목적으로 축적된 자료로 일부 진단명이 부정확할 수 있으며, 비급여 진료건이 포함되지 않고, 업코딩 등의 문제로 인해 과대 또는 과소 추계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민 건강보험체계 하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는 전국민을 대표할 수 있으며, 희귀질환 또는 발생률이 적은 질환의 발생경향을 감지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원이라고 할수 있다.
이에 2002년부터 축적되어온 빅데이터의 시계열적 경향을 통해 특별관심이상반응에 대해 단기간의 질환 발생 현황 파악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향후 해당 질환의 발생 예측과 실제 질환 발생현황의 비교분석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해당 질환으로 응급실 방문이나 입원 경험이 있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료 후 의료기관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청구하는 시점과 심사 완료 후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자료가 최종 전송되는 시기를 고려하여 2021년 4월까지 심사완료된 자료를 대상으로 발생현황을 산출하였다.
질환별 발생자 수는 사전 정의된 질병코드가 제3상병(주상병, 부상병1, 부상병2)까지 기입된 경우 해당 질환이 발생한 것으로 하였으며, 진료 시점 이전 3년 동안 해당 질환으로 진료경험이 있는 경우는 기 질환자로 정의하고 본 연구의 발생자 수에서 제외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