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한국 보건의료시스템에 기반한 우즈베키스탄 맞춤형 모델 개발 연구
- 등록일2021-08-27
- 조회수4026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21-08-26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시스템#우주베키스탄#의료모델
- 첨부파일
한국 보건의료시스템에 기반한 우즈베키스탄 맞춤형 모델 개발 연구
◈목차
제1장 연구개요
제2장 의료전달체계 개선
제3장 병원운영체계 수립
제4장 병원건립기준 수립
제5장 임상진료지침 개발
제6장 해외환자유치 활성화 방안 수립
제7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샤브카트 미요르지예프 대통령의 방한(’17.11)을 계기로 향후 우즈베키스탄 보건의료분야 개혁은 한국의 사례를 참고로 할 것을 밝힌 바 있음
◦또한, 이어진 문재인 대통령의 우즈베키스탄 방문(’19.4) 시 양국 보건의료 협력 거점마련을 위해 “한-우즈벡 보건의료 협력센터”가 개소되었음
◦본 연구는 한-우즈벡 보건의료 협력센터의 2020년 양국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우즈 베키스탄 보건혁신위원회*(The National Chamber of Innovative Healthcare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의 의뢰를 받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직접 연구를 수행함
* 우즈베키스탄 보건혁신위원회는 우즈벡 대통령 직속 독립적이고 혁신적인 의료관리를 위해 승인된 기관으로, 우즈베키스탄의 지속가능한 의료개혁 전략을 개발하고, 국제기구와의 효과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며 후속 모니터링을 통해 의료분야에 대한 자금을 유치 등의 기능을 함(인용: https://www.uzhealth.uz 기관소개).
2. 연구목적 및 기대효과
◦한국의 보건의료시스템을 기반으로 우즈베키스탄의 현실에 맞는 보건의료 정책과 제도를 개발하고 도입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
◦이는 향후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보건의료분야 개혁을 위한 정책수립에 참고기준이 될 것
3. 연구 방법 및 수행체계
◩ 연구 방법
◦연구주제는 크게 5개의 소주제(의료전달체계 개선, 병원운영체계 수립, 병원건립 기준 수립, 임상진료지침 개발, 해외환자유치 활성화 방안 수립)로 분류하였으며, 각 분야별로 다음과 같은 3단계의 절차로 진행되었음
<1단계> 현황 조사‧분석
- 우즈베키스탄 보건의료 현황을 조사‧분석하는 동시에, 참고할 만한 사례로서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분석을 진행함
- 이 단계에서 우즈베키스탄 현지 방문을 통한 조사와 현지 전문가 인터뷰가 예정 되어 있었으나, COVID-19로 인한 제약조건으로 한국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 서 연수받고 있는 우즈벡 의사들에 대한 2회의 심층인터뷰(’20년 6월, 10월)로 대체함
<2단계> 이슈/시사점 도출
- 우즈베키스탄 현재 상황에서의 문제점과 제한점, 외국사례를 통해 참고할 만한 시사점들을 도출
<3단계> 정책제언
- 우즈베키스탄 보건의료분야 개선을 위한 정책(안) 제언 및 표준모델(안) 제시
◦연구수행체계
- 연구는 다음과 같은 5개의 소주제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주제별로 진흥원과 관련분야 외부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하여 수행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