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산업기술 동향워치] 2021년 15호 미·중 기술기업 메타버스 연구 투자 확대
- 등록일2021-09-01
- 조회수3894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8-23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첨부파일
[2021년 15호] (통합본) 산업기술 동향워치
◈목차
이슈포커스
가상공간의 가능성, 과제 및 전망 (日 경제산업성, 7.13)
산업⋅기술동향
’21 글로벌 자동차산업 공급 현황 및 지역 분석 (中 쳰잔산업연구원, 7.24)
’21 상반기 산업 제조 및 자동차 산업 M&A 트렌드 (PwC, 7.20)
NGFS의 새로운 기후 시나리오 대응 방안 (日 일본종합연구소, 7.16)
스타트업 투자 관련 미·중 탈동조화 현상 (日 일본경제연구센터, 7.20)
미·중 기술기업 메타버스 연구 투자 확대 (中 CBDIO, 7.27)
독일 ICT 부문 비즈니스 환경지수 신고점 달성 (獨 Bitkom, 7.15)
탄소중립에 따른 일본 자동차업체의 전략 방향 (日 미즈호은행, 7.13)
일본 제조현장의 로컬 5G 도입 가이드라인 (日 총무성, 7.27)
동남아시아의 CCUS 발전 기회 고찰 (IEA, 6月)
정책동향
미-독 기후에너지파트너십 출범 (美 White House, 7.15)
EU-US 무역기술위원회 10대 의제 (歐 DigitalEurope, 7.19)
EU 반도체 및 산업 클라우드 기술 연합 발족 (歐 EC, 7.19)
영국 ’20년대 에너지 소매시장 전략 (英 BEIS, 7.23)
자율주행차의 공공도로 운행을 위한 도로법 및 교통법 개정 (佛 내무부, 7.1)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탄소가격제 제안 (日 미쓰비시종합연구소, 7.19)
탄소국경조정제도의 도입 효과 분석 (日 일본경제연구센터, 7.15)
주요 모바일 기술의 개발·활용 촉진 가이드라인 (ITU, 7.22)
개발도상국의 탄소가격제 도입·시행 동향 (日 지구환경전략연구기관, 7.16)
◈본문
이슈포커스 : 가상공간의 가능성, 과제 및 전망 (日 경제산업성, 7.13)
○ 일본 경제산업성이 가상공간 관련 산업의 과제와 시장 전망을 분석하고 정부의 지원 방향을 도출한 보고서 발간
※ 콘텐츠 해외 진출 촉진 산업의 일환으로 KPMG가 일본 경제산업성의 위탁을 받아 조사 분석 시행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가상공간 이용이 확대되고 일상생활과의 융합이 급속도로 진전되는 가운데, 가상공간에 대한 규정 적용, 현실공간에 미칠 영향 등의 과제 부각
○ 가상공간 비즈니스 확대를 저해하는 정치·경제·사회·기술적 요인에 대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치) 법·가이드라인 정비 ▲(경제) HMD 가격, 유료화 문제 ▲(사회) 확장현실(XR)*기술자·콘텐츠 부족 ▲(기술) VR 기기의 성능·사용성 향상, 사양 표준화 등이 과제로 대두
※ (Extended Reality)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등 실감 기술을 통칭하며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필수 기술로 주목
○ 컴퓨터·IT 활용 능력을 보유한 사용자가 가상공간 시장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 확보가 관건
- 일반 소비자 이용이 확대될 경우 마케팅, 디지털 콘텐츠 판매 목적의 기업 참여가 증가할 전망
- 수요·공급 측면에서의 VR 기기 및 콘텐츠 보급, 기술자 확보가 일반 소비자 이용 확대에 필수적
○ 가상공간 비즈니스 확대를 위한 정부 역할로 시장 및 산업 지원 사업자 직접 지원
규칙 형성(rule maker)을 도출
※ 관련 사업자들은 기술 여명기인 현 시점에 맞춰 ‘시장 확대 지원’에 대한 우선 검토를 요망하는 것으로 조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