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화이트바이오 산업 인증제 동향Ⅱ

  • 등록일2021-09-07
  • 조회수4520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21-09-06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화이트바이오#안전성
  • 첨부파일


화이트바이오 산업 인증제 동향Ⅱ


◈목차


1. 바이오플라스틱 인증제도 개요 

2. 국내 바이오플라스틱 인증제도 현황 

3. 해외 바이오플라스틱 인증제도 현황

4. 바이오플라스틱 산업 성장 가능성 

5. 국내 바이오플라스틱 인증제 개선 방안


◈본문


※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에서는 지난 7월, 화이트바이오 산업 인증제 동향을 분석 하여 ‘생분해성플라스틱 인증제도’에 대한 브리핑을 배포하였습니다. 지난 브리핑에 이어 ‘바이오플라스틱 인증제도 관련 이슈를 정리해보았습니다.
 
1. 바이오플라스틱 인증제도 개요
 
□ 바이오플라스틱
 
 ㅇ 기존 석유화학 소재와 달리 재생가능한 자원(바이오매스)을 통해 만들어지는 플라스틱을 통칭함
 
 ㅇ 바이오플라스틱의 재료로 사용되는 바이오매스는 배출되는 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탄소중립에 부합하여 탄소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음
 

1.png

 
□ 바이오플라스틱 인증제도
 
 ㅇ 미국은 국가인증을 통해 높은 공신력을 갖추고 있으며 공공기관 의무구매, 대출프로그램 등 지원 활성화로 인증 취득 건수가 지속 증가하고 있음. 유럽, 일본은 민간 기관에서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규제 대응, 지원 정책 등으로 인증 취득 건수가 증가하고 있음
 
 ㅇ 국내에서는 환경표지에 바이오매스 합성수지 제품 인증이 포함 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두 민간협회에서 인증을 운영하고 있으나 인지도 및 인증 건수는 매우 낮음
 

 

2.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