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21년 7월 이후 발생한 6개 요양병원 코로나-19 유행사례 역학적 특성

  • 등록일2021-09-10
  • 조회수4222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09-09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역학적특성#코로나역학
  • 첨부파일
    • pdf [역학관리보고서]+2021년+7월+이후+발생한+6개+요양병원+코로나1... (다운로드 3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2021년 7월 이후 발생한 6개 요양병원 코로나-19 유행사례 역학적 특성


◈목차


초록

들어가는말

몸말 

맺는말


◈본문


 

초록


2021년 7월 이후 요양병원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집단사례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요양병원을 비롯한 고위험시설의 추후 관리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6개 요양병원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예방접종률, 발병률, 돌파감염률, 중증률, 치명률 등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6개 요양병원의 입소자 및 종사자 등 총 1,662명 중 1,173명(70.6%)이 예방접종을 완료하였고, 192명(11.6%)이 확진되었으며, 이중 돌파감염자가 135명(70.3%)이었다. 모든 요양병원에서 종사자에 비해 입소자의 발병률과 돌파감염률이 높게 나타났다. 위중증자와 사망자는 각각 21명(10.9%)으로 예방접종에 따른 중증화 예방효과는 79.8%, 사망 예방효과는 72.4%로 나타났다.
 
6개 요양병원의 역학적 특성을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고연령층의 중증화 및 사망 예방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요양병원 신규 입소자 및 종사자의 신속한 백신접종을 완료해야 하며, 예방접종력과 상관없이 시설 내 개인 방역수칙 준수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한편 향후 고위험집단을 대상으로 추가접종에 대한 근거 마련을 위해서 인구집단별 예방접종효과 지속기간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요 검색어 : 요양병원, 예방접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효과
 
 
들어가는 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코로나19)의 병원체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2; SARS-CoV-2)로서, 임상증상은 무증상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고령(65세 이상)의 경우 중증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감수성이 크고, 치명률이 높으므로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020년 11월 코로나19 예방백신이 개발된 이후, 전 세계는 고위험집단을 시작으로 예방접종을 신속히 진행해왔으며, 우리나라도 20 2 1년 2월 2 6일부터 고위험집단으로 분류된 요양병원의 65세 이상 입소자 및 종사자 총 28.9만여명을 시작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실시되었다[2-4]. 8월 29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요양병원의 접종완료자는 337,235명이며, 접종완료율은 7 7.9%이다 [4]. 
 
그러나 최근 7월 이후 고위험군 집단시설인 요양병원에서의 집단사례 6건이 경남, 경북, 부산, 서울에서 각각 발생함에 따라 향후 전국적으로 요양병원을 비롯한 요양시설에서의 집단사례가 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6개 요양병원 코로나19 유행사례에 대한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향후 요양병원을 비롯한
지역사회 내 고위험집단에서 코로나19 추후 관리를 위한 방역전략 개선 및 계획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몸 말
 
1. 조사방법 및 대상자
 
본 조사는 2021년 7월 말부터 집단사례가 발생한 6개의 요양병원(경남 A·B, 부산 C·D, 서울 E, 경북 F)을 대상으로 병원 및 보건소, 경북권·경남권·수도권질병대응센터와 함께 역학조사를 수행하였고, 코로나19정보관리시스템(Integrated System, IS)과
국가예방접종등록시스템(Immunization Registry Information System, IR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성별, 연령별, 접종력 및 돌파감염률 등을 분석하였다.
 
확진자는 임상양상에 관계없이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코로나19 감염을 확인한 자로 정의하였다. 또한 완전접종자는
2차 예방접종 후 14일 이상 경과한 자로, 불완전접종자는 1차 예방접종부터 2차 예방접종 후 14일 미경과자로, 미접종자는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자로 각각 정의하였다. 
 
위중증은 고유량  산소요법(High flow nasal cannula oxygen therapy), 기계적 환기 (Mechanical ventilation), 체외막산소요법(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지속적 신대체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치료 환자 또는 다기관 손상(Multi organ failure) 환자를 포함하였다[1].
 

1.jp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