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헬스 R&D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등록일2021-10-21
  • 조회수3954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21-10-20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초연구#바이오헬스#R&D
  • 첨부파일
    • pdf 최종보고서_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헬스 R&D 구조분석에 ... (다운로드 4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헬스 R&D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목차


Ⅰ. 서론
Ⅱ. 바이오헬스 국내외 현황 분석
Ⅲ. 5대 의약학 분야별 현황 및 제언
Ⅳ. 바이오헬스 및 의약학 분야 R&D 추진체계 및 연구비 분석
Ⅴ. 종합의견
VI. 부록
참고문헌
 
 

◈본문


 
요 약 문(국문)
Ⅰ. 제 목 :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헬스 R&D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코로나19, 기후변화문제, 노령화문제와 4차 산업혁명 등의 사회적 이슈 등으로 인해 바이오헬스 분야에 대한 관심 증대
○ 현재 우리나라는 단순한 기술추격형 R&D를 지양하고 창조선도형 연구체제를 표방함에 따라 기초원천기술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므로 기초연구 분야에서 창의적인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상용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나 현재 바이오헬스 분야 정부 R&D 구조가 복잡하고 체계화되어있지 못함에 따라 전체 또는 각 분야별 연구비 파악이 어려워 체계적 분석 및 효과적 투자가 어려운 상황
○ 또한 국내 기초·중개·임상 바이오헬스 R&D 구조가 교육부, 과기정통부, 산업통상부,복지부 등 여러 부처에서 관리하여 R&D 연구비 현황 및 배분구조 등의 파악이 어려운 상태로 국내외 바이오헬스 R&D 거버넌스 분석과 연구비 투자 우선순위를 통한 국가바이오헬스 R&D의 효과적인 투자를 위한 정책제언 필요한 상황임
○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바이오헬스 R&D 투자현황 및 거버넌스 분석 등 정밀하고 체계적인 R&D 구조분석을 바탕으로 한 근거 기반 기초의과학 활성화 등 바이오헬스 R&D 투자전략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함
○ 특히,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헬스 뿐만 아니라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5대 의약학(의학, 약학, 간호학, 치의학, 한의학 등)에 대해서도 정부지원과제의 구조 및 연구비 분석을 통해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주요국 기초⦁중개⦁임상 바이오헬스 R&D 구조 현황 조사
○ 주요국은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관련 제도 정비 중이므로, 주요국 바이오헬스 R&D 연구비 현황, 배분구조, 투자 우선순위 기준 현황, 거버넌스 현황조사 및 분석 필요
☐ 국내 기초⦁중개⦁임상 바이오헬스 R&D 구조 분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