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제200호 과학기술&ICT 동향] 스마트 팜 최근 동향과 시사점 등~

  • 등록일2021-11-03
  • 조회수4160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10-27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 팜#인공지능#빅데이터#무인자동화
  • 첨부파일


[제200호 과학기술&ICT 동향]


◈목차


1. 이슈 분석
   스마트 팜 최근 동향과 시사점
2.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에너지부 인공지능기술실 프로그램 계획안 발표
    일본, 재생에너지정책 최근 동향 발표
    일본, 디지털 시대의 반도체 산업과 각국 정책 현황 고찰
    중국, 2021년 중대 분야 크로스 프런티어 방향 발표
    독일, 4대 부문 범부처 혁신전략 제안
    독일, 수소경제 가치사슬 구현을 위한 4개 분야 권고안 발표
    EU, 2021 전략예측보고서 발표
    OECD, 인공지능 기술 관련 인적 자본 수요 분석
  2) ICT
    韓 인공지능·플랫폼 기업, 기술·경험 축적해 해외 진출 활기
    국내 클라우드 시장, 첨단 ICT깅버 진출 봇물 이루며 경쟁 각축
    K-수소동맹 출범···수소경제 선도를 위한 민간역량 결집
    韓·美·中, 차세대 이동통신 6G 주도권 확보 잰걸음
    美-EU, 무역기술위원회 신설···반도체·AI 대서양 동맹 강화
    일본 자동차 기업, 자율주행·eVTOL 등 모빌리티 영역 확장
3.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4. 주요 통계



◈본문


Ⅰ. 스마트 팜 최근 동향과 시사점


1. 스마트팜정의및필요성

▶ 빅데이터, AI, 무인자동화 등 융합기술을 온실・축사 등에 접목하여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지능화된 시설농장 의미

 ● 농・축산 생산시설의 환경 및 생체정보의 계측과 판단을 통해 기존 관행적・경험적 농업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적절한 제어・처방

- 최소한의 노동・에너지 투입을 통해 생산성 극대화 및 고품질의 농업, 축산 제품 생산이 가능한 기술

< 스마트 팜 개념 >

20211103_095813.png

※ 자료 : 농촌진흥청(2016) ‘RDA인테러뱅179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8.10) ‘스마트 팜 현장착근을 위한 기술 정책 제고 방안’, 언론보도종합
 
유럽 농기계위원회(2017)는 기술발달에 따라 농업의 발전과정을 구분, 녹색혁명을 통한 농업 생산성의 획기적 증가를 Agriculture 2.0, GPS를 활용한 맞춤형 정밀농업 기술의 등장을 Agriculture 3.0으로 정의
- 2010년대 초반 ICT기술 융합을 통해 정밀농업이 심화・발전된 형태인 스마트 팜은 Agriculture 4.0, 인공지능과 로봇을 활용한 무인・자율의사결정 농업시스템은 Agriculture 5.0으로 정의

< 스마트 팜의 세대별 구분 >

20211103_100552.png

※ 자료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스마트 팜 현장 착근을 위한 기술정책 제고방안”(2018)
 
▶ 국내는 농・축산업 인구 고령화와 젊은 층 유입 감소 및 생산면 축소에 따른 소득・수출・성장률 정체 등에 따른 관련 산업 지속가능성 위기
 ● 지난 10년간(2009~2019년) 농가 수 및 농가인구는 전년대비 지속 감소
  * 농가 수 감소율(전년대비 %) : (’16)△1.9→(’17)△2.5→(’18)△2.0→(’19)△1.3
  * 농가인구 감소율(전년대비 %) : (’16)△2.8→(’17)△3.0→(’18)△4.4→(’19)△3.0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