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우리 몸과 장내 미생물간의 신호전달
- 등록일2021-11-11
- 조회수4868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11-09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GT ONLINE)
- 원문링크
-
키워드
#장#미생물#신호전달
- 첨부파일
우리 몸과 장내 미생물간의 신호전달
◈목차
Ⅰ. 우리 몸과 장내 미생물간의 신호전달: 다양한 질병의 예상 가능성 제시
v 개요
v 장, 장내 미생물과 질병의 연관성
v META-BIOME 프로젝트의 목표 및 주요 발견
v META-BIOME 프로젝트의 추가적인 발견과 의의
◈본문
Ⅰ. 우리 몸과 장내 미생물간의 신호전달: 다양한 질병의 예상 가능성 제시
v 개요
- 장에 살고 있는 많은 미생물 또는 미생물 군집은 인간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하지만, 장내 미생물과 신체 사이의 신호전달이 중단되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EU가 지원하는 META-BIOME 프로젝트는 이러한 장내 미생물과 신체 간의 신호전달 중에 생기는 오류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이를 통해 환자들의 질병과 다양한 대사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가능해졌다.
v 장, 장내 미생물과 질병의 연관성
- 우리의 장은 지구상에서 발견되는 가장 밀도가 높은 미생물 또는 미세한 유기체의 서식지이다. 장내 미생물 군집은 신진대사에서 생리학, 영양, 면역 체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인체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우리의 웰빙에 큰 역할을 한다.
- 장내 미생물 군 유전체의 변화는 우리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우리 몸의 유전자 구성, 장내 구조적 환경, 영양상태 등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되고 조절된다.
-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 군집이 파괴되면 비만, 당뇨병,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Crohn’s disease), 심지어 암과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림1).
* 자가면역 질환 중 하나로 유해한 박테리아에 지나치게 반응하는 면역 체계로 유발되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
<그림1> 장내세균 Akkermansia muciniphila와 여러 질병 사이의 연관성
- 그림1은 장내 미생물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Akkermansia muciniphila)의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을 때 나타나는 다양한 병리학적 상황을 나타낸다. 이는 건강 상태에 따른 장내 미생물총의 변화를 보여주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와 질병 간의 연관성을 증명한다. * 미생물군집(microbiota)와 생태계(biome)의 합성어로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을 의미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Bio-inspired 기술 - 불가사리 모양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2025-04-21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후성 유전체 비트(Epi-bits)를 활용한 DNA 기반의 데이터 저장 기술 2025-03-18
- BioINwatch 맞춤형 ASO 치료제 개발에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오가노이드 플랫폼 2025-02-06
동향
발간물
- 이슈 보고서 2020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8화 “식물 종간 장벽제거기술” 편 2021-01-21
- 이슈 보고서 2020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7화 “엽록체 바이오공장” 편 2021-01-04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9화 “플라스틱 분해 인공미생물” 편 2019-12-06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8화 “식물공장형 그린백신” 편 2019-10-17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3화 “자기조직화 다세포 구조” 편 2019-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