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i ISSUE Report] 주요국의 농업 분야 수소기술 적용 현황 및 사례
- 등록일2021-11-12
- 조회수3647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21-11-05
-
출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주요국#농업 분야#수소기술
- 첨부파일
주요국의 농업 분야 수소기술 적용 현황 및 사례
◈목차
1. 수소에너지 개념 및 도입 배경
2. 농업분야 수소기술 적용배경 및 필요성
3. 주요국의 농업 분야 수소기술 적용 관련 연구현황, 적용사례 등
4. 시사점
◈본문
■ 재생에너지 중심의 글로벌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이 가속화되는 현 상황에서 '수소에너지' 관련 관심 및 투자가 확대되는 실정
-> 수소경제는 현재 기술개발과 더불어 산업기반이 확립되는 초기단계이며 농업의 측면에서는 모빌리티(Mobility)와 발전과 관련한 기술적용이 가능
■ 세계 주요국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가수준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나, 농업 분야에서의 적용은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단계
-> 따라서, 국내 농업 분야에서의 수소 관련 연구개발 투자 확대는 세계농업에서 선도적 입지 확립을 실현할 수 있는 전략적 선택이 될 가능성이 존재
1.수소에너지의 개념 및 도입 배경
■글로벌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의 수소에너지 KEY, 수소에너지의 개념
●수소에너지의 개념
- 수소(H2)는 우주 질량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원소이며 고갈의 걱정이 없는 대표적인 청정 에너지원
●화석연료 문명의 붕괴
- 탄소 기반의 화석연료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며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를 초래하여 미세먼지 태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를 발생시킴
-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대응을 위해 세계 주요 국가들을 중심으로 탄소 중립 목표와 실행계획을 발표하면서 화석연료 문명의 붕괴를 가속하는 상황
●수소에너지의 필요성 및 중요성
- 화석연료 문명의 붕괴와 함께 새로운 에너지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가속화되는 현재 상황에서 수소에너지의 장점은 전환의 핵심으로 급부상
· 수소에너지는 지역적 편중이 없는 보편적 에너지원으로 장기간·대용량 저장이 가능하여 기존 대체 에너지원(태양광, 풍력, 수력)과의 차별성을 확보
· 또한 수소의 연소과정은 공기 중 산소와 화학반응으로 최종에너지(전기, 열)를 생산하지만, 부산물은 단지 물(H2O)이기 때문에 친환경 산업 에너지로 활용 가능
2.농업 분야 수소기술 적용 배경 및 필요성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현장에서의 피해
●글로벌 이슈인 기후변화는 다양한 동인으로 야기되고 있으며, 그중 온실가스 배출은 이와 관련된 주요 원인으로 작용
- 최근 폭우, 가뭄, 폭염, 냉해 등 이상기후로 인한 농업 분야 기상재해 증가
* 주산지의 북상 현상 병충해 발생 증가 등으로 농업 분야의 어려움이 가중
-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 온난화 및 기상재해 현상은 농업 분야에 직접적 연관성이 있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실질적 대안 마련 시급
* 기후변화 대응정책에 대한 농업현장의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