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 등록일2021-11-19
- 조회수3879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21-11-17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에너지믹스 #태양광#재생에너지
- 첨부파일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목차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정책동향
제4장 R&D 투자동향
제5장 결론
◈본문
제1장 개요
1.1. 작성 배경
▣전 세계 에너지믹스 개편을 통한 재생에너지 투자는 태양광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설비가 확대됨
●가장 많은 설비용량을 차지하는 태양광은 베트남을 중심으로 중국, 호주, 독일, 미국에서 수요가 증가하여 2020년에는 전년 대비 139GW가 신규 설치되면서 전 세계 누적 설비용량은 760GW로 예상
출처: REN21, 2021
[그림 1] 전 세계 태양광 설비용량 현황
●국내는 2000년대 들어와서 태양광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19년에는 3.79GW신규 설비가 추가되면서 총 11.77GW 누적 설비용량을 달성
-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2021.10.) 목표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예정
*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소비량 비중 시나리오(%): 70.8(A안), 60.9(B안)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안), 2021.10)
출처: 한국에너지공단, 2014~2019 데이터로 저자 작성
[그림 2] 국내 태양광 설비용량 현황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 및 보급에 따른 사용 후 폐자원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처리 및 재활용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태양광 패널의 사용기한(20~25년) 만료, 발전설비의 사용 기간 만료, 리모델링 및 발전시설폐쇄 등으로 폐패널이 대량 발생할 수 있으며, 최근 파손 및 효율 저하로 인해 조기 폐기(early-loss)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어 폐패널의 발생 시점은 예상보다 앞당겨질 수 있음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 폐패널 예상 발생량은 2030년까지 최대 800만 톤, 2050년 기준으로 7,800만 톤이 누적 폐기될 것으로 추정되며, 2030년에는 아시아 최대 300만 톤, 유럽 최대 197만 톤, 미국 최대 100만 톤으로 예상 (IEA-IRENA, 2016)
●국내 태양광 폐패널의 발생량은 2020년 기준으로 175 톤, 2030년 예상 발생량은 1만 7,531 톤, 2040년 5만 9,194 톤, 2050년 11만 5,250 톤으로 추정(임송택, 2019)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