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 기술

  • 등록일2021-11-25
  • 조회수4157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해양수산기술
  • 자료발간일
    2021-11-24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해양플라스틱#생물다양성#해양쓰레기
  • 첨부파일
    • pdf KISTEP+기술동향브리프+2021-14호+「해양플라스틱+쓰레기+저감+기... (다운로드 6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 기술


◈목차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정책동향
제4장 R&D 투자동향
제5장 결론 



◈본문


제1장 개요
1.1. 작성배경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이 해양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해양쓰레기를 주목(2012년)하고, UN이 지속가능발전목표**17개 중 하나로 해양 생태계 보호를 선정(2015년)하는 등 해양 생태계 보호 관련 인식이 국제적으로 확산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CBD)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해양쓰레기의 생태계 영향 유형으로는 (1) 얽힘, (2) 섭식, (3) 외래종 이동과 확산, (4) 서식지 훼손, (5)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함유 화학물질 등이 있음

20211125_100513.png

[그림 1] 해양쓰레기 생태계 영향 유형
 
 • 해양쓰레기의 발생 원인은 육상기인, 해상기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표 1), 일반폐기물과 달리 광역이동성, 난분해성, 흡수성의 특징을 보임
  - (광역이동성) 연안해역의 쓰레기는 취송류에 의해 운반되며, 조류나 해류에 영향을 받아 인근 국가를 넘어 대양으로 이동 가능
  - (난분해성) 분해시간*이 길고, 반영구적으로 해양에 잔류하여 인위적으로 제거하기 이전에 악영향을 끼침
 *스티로폼 부이 : 80년, 플라스틱 병 : 450년, 낚싯줄 : 600년 이상
  - (흡수성) 해수를 머금고 염분이 스며들어 무게가 늘어나 수거작업 및 전처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소각 시 미세먼지 및 환경유해가스 등의 발생 우려가 있음
 
<표 1> 해양쓰레기 발생원인

20211125_100606.png

※ 출처 : 윤종주・윤영관(2016). 「충청남도 해양쓰레기 관리 정책모델 개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