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임상 정보, 활력징후 및 초기 혈액검사소견을 통한 단계별 뇌졸중 조기 인식 체계 개발
- 등록일2021-12-03
- 조회수3710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12-02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임상 정보#활력징후#혈액검사소견#뇌졸중
- 첨부파일
임상 정보, 활력징후 및 초기 혈액검사소견을 통한 단계별 뇌졸중 조기 인식 체계 개발
◈목차
초록
들어가는 말
몸 말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
초록
급성뇌졸중이 발생되면 시간이 경과할수록 더 많은 뇌손상이 발생되어 생명을 잃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살아남더라도 예후가 나쁠 수 있다. ‘손상된 뇌에서 시간은 생명’이기 때문에 빠른 치료를 위한 뇌졸중 조기인지 체계 개발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다양한 뇌졸중 아형을 동시에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진은 빠른 뇌졸중 인지를 위한 임상 기반 선별체계 개발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뇌졸중 유형을 동시에 쉽게 구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환자에게 가장 쉽게 얻어낼 수 있는 임상 정보(Clinical Information), 활력징후(Vital signs) 및 초기 혈액 검사소견(Initial Labs)의 3가지 항목을 활용하여 1단계(진짜 뇌졸중 및 가짜 뇌졸중을 구분), 2단계(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 구별), 3단계(급성대형동맥폐색[ELVO, emergent large vessel occlusion] 유무)를 확인하는 선별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각 항목의 머리글자로 ‘시민’라는 의미의 CIVIL로 명명하였다.
1단계는 연령대가 젊고(40대 이하), 뇌졸중 위험인자(심장질환, 발작 혹은 정신과적 병력, 혈당 등)가 없고, 편마비가 없고, 초기 혈압이 낮은 경우로 초기 뇌졸중이 의심되더라도 실제 뇌졸중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 2단계는 의식저하,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60세 미만), 높은 초기 혈압, 뇌졸중 위험인자(심장질환, 당뇨 등)가 적은 경우로 출혈성(뇌출혈)일 가능성이 높았다. 3단계는 안구편위(눈이 좌-우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 걸을 수 없는 편마비, 언어장애가 동반된 경우로 신속히 응급 혈관재개통술을 통해 막힌 뇌혈관을 뚫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CIVIL 뇌졸중 조기 인지 체계’를 활용하면 간단히 뇌졸중 의심환자에서 뇌졸중 유형을 빠르게 선별할 수 있어 응급상황에서 더 신속한 치료를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CIVIL을 활용하면 급성대형동맥폐색 환자인 뇌졸중 의심환자를 쉽게 판별할 수 있어 빠른 주변의 도움을 통하여 뇌졸중 병원으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이처럼 ‘CIVIL 뇌졸중 조기 인지 체계’는 병원 전 단계 이송 체계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검색어 :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 급성동맥폐색, 뇌졸중 조기인지
들어가는 말
높은 사망률과 기능적 장애를 초래하는 뇌졸중은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또한, 뇌졸중은 치료 시간이 늦춰진다면 사망에 이르거나 살아남더라도 평생 장애를 안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뇌졸중을 빠르고 정확하기 인지하여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은 사회적 부담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급성뇌경색은 케이스에 따라서 빠른 시간 내에 응급 혈관재개통술을 통해 막힌 뇌혈관을 뚫어야 한다. 출혈성 뇌졸중 또한 특정 환자군에서 빠른 수술적 치료가 환자의 좋은 예후로 연결되기 때문에 뇌졸중 특성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급성기 치료가 가능한 병원의 선택이 중요하다.
뇌졸중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병원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뇌졸중 환자의 치료시간을 줄이는데 뇌졸중 인지 시스템은 매우 유용하다. 앞선 여러 연구에서 뇌졸중의 치료 골든 타임을 잡기 위해 선별시스템을 개발하였으나, 복잡하거나 뇌졸중 유형을 분류하지 못해 의료현장에서 사용에 제약이 많았다. 이 연구는 급성뇌졸중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뇌졸중 여부와 치료 단계별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임상정보, 생체징후, 기초검사 등을 통해 뇌졸중의 유형을 빠르게 선별할 수 있는 새로운 뇌졸중 선별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 글에서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뇌졸중에 대한 교차비가 1 이상이면 양성변수로 +1을 할당하고 교차비가 1보다 작은 경우 –1로 점수화 하였다. 2단계에서는 출혈성 뇌졸중을 암시하는 항목에서만 점수화하였으며 마지막 3단계에서는 대형동맥폐색을 구별하기 위해서 얼굴-팔-언어-시간에 대한 점수를 항목화하여 비교하였다. 대형동맥폐색은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뇌 CT 상에서 내경동맥, 중대뇌동맥, 기저동맥의 폐색이 있는 경우로 확인하였다.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