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장내미생물(Microbiota)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25)
- 등록일2021-12-16
- 조회수6924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12-13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장내미생물#세균#바이러스#면역
- 첨부파일
[R&D Brief 2021-40호]
장내미생물(Microbiota)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25)
◈목차
1. 장내미생물(Microbiota)이란?
2. 왜 주목받고 있나?
3.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4. 최근 국내·외 연구 동향은?
5. 기초연구사업 지원 현황은?
6. 향후 기초연구사업에서 어떤 연구들이 필요한가?
7.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연구주제는?
참고자료
◈본문
1. 장내미생물(Microbiota)이란?
ㅇ 사람의 피부와 체강에 존재하는 세균, 고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을 포함하는 전체 미생물집단으로 사람과 생태적 공동체를 이루어 상호작용하면서, 사람의 건강 유지 및 질환 발생에 중요한 작용을 함.
- 인간에 서식하는 대부분의 미생물은 장 내에 서식하며 숙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화합물을 생성하고, 음식 소화, 장 내 분비 기능 및 신경 신호 조절, 면역력 강화, 약물 작용 및 대사 조절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함. 이러한 장내미생물은 출생 방식, 수유, 생활방식, 약물, 숙주의 유전에 영향을 받음.
- 장내미생물은 숙주 세포 증식 및 혈관 형성에 영향을 주어 장 내분비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장내미생물은 단순히 소화 기능에 도움을 주는 것뿐만이 아닌 감염이나 자가면역, 암, 신경 및 정신과적 질병을 포함한 광범위한 질환 또는 치료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2. 왜 주목받고 있나?
ㅇ 최근 장내미생물이 단순히 생활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태어나면서 혹은 그전부터 결정되며 다양한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짐.
ㅇ 장내미생물(Microbiota)과 다양한 질환과의 연관성 규명
- 장내미생물은 인간의 몸속에서 함께 공존하고 있는 전체 미생물집단임. 인체 내의 미생물은 생체대사 조절과 소화능력, 그리고 각종 질병의 조절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또한, 환경변화에 따른 유전자 변형 및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과정 등 인체의 다양한 기능에 영향을 미침. 이런 장내미생물이 최근 당뇨와 비만을 포함하는 각종 대사 관련 질환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등의 면역질환, 염증성장질환, 심장병 등 다양한 질환들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ㅇ 미생물-장-뇌 축 이론(Microbiota-Gut-Brain axis)이란?
- ‘뇌-장 축 이론’은 뇌 기능의 변화가 장 기능에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20세기에 밝혀진 이론이었으나, 장내미생물이 숙주인 인간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보고되면서, 반대 방향의 축 개념으로 ‘미생물-장-뇌 축 이론’으로 바뀌게 됨. 최근 해당 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로 자폐증상을 지닌 소아 연령에게 건강한 사람의 장내미생물을 8주간 먹게 하거나 관장을 통해 장내미생물을 투여한 결과 자폐증상이 호전되는 것이 관찰되었음. 이를 통해 치료 방법이 거의 없는 자폐증상이 좋아진다는 것으로 대중의 이목을 끌며 장내세균에 의한 다양한 뇌질환 조절 가능성이 제시되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침에 의한 뇌신경 조절(Neuromodulation by Acupuncture)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27)
-
다음글
- 자가포식 이용한 난치성 질환 치료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24)
관련정보
지식
동향
- 기술동향 Brain-Multi Organ Crosstalk: 최신 연구 동향과 미래 전망 2024-12-11
- 기술동향 Microbiome-gut-brain axis의 비밀 2024-09-24
- 기술동향 2021년 국내 분리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의 내성 경향 및 특성 분석 2023-05-15
- 기술동향 대장암에서 장내미생물 균총의 역할 2023-05-08
- 기술동향 2017∼2020년 국내 분리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의 내성 경향 및 특성 분석 202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