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침에 의한 뇌신경 조절(Neuromodulation by Acupuncture)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27)

  • 등록일2021-12-17
  • 조회수4384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12-13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침#뇌신경#뇌#척수
  • 첨부파일


[R&D Brief 2021-42호]

침에 의한 뇌신경 조절(Neuromodulation by Acupuncture)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27)


◈목차


1. 침의 작용 기전
2. 왜 주목받고 있나?
3.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4. 최근 국내·외 연구 동향은?
5. 기초연구사업 지원 현황은?
6. 향후 기초연구사업 차원에서의 노력 
7. 향후 관련분야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노력
참고자료



◈본문


1. 침의 작용 기전
ㅇ 침 치료의 효과는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밝혀지고 있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는 크게 뇌, 척수와 같은 신경계에 대한 직접 자극 및 장-뇌 축에 의한 것으로 정리되고 있음.
ㅇ 침의 효과 기전에 대한 심화 연구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두침이나 전침의 원리를 이용한 전기 자극 치료기술로의 확장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됨.
 

20211217_102554.png

[그림 1] 침의 효과 기전
 
▪ 장-뇌 축(Gut-Brain Axis): 장내미생물이 생산하는 다양한 대사체가 자폐증, 우울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 등 뇌신경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이론
▪ 두침(Scalp Acupuncture): 한의학의 경락이론 및 침구요법의 기초 위에서 신경과학의 대뇌피질 기능정위의 이론을 연결하여 머리 피부의 상응하는 부위에 자침을 하여 치료하는 침법
▪ 전침(Electroacupuncture): 전기침이라고도 하며 전선이 연결된 집게를 침에 연결해서 전기자극을 줌으로써 침의 효과를 높이는 요법
 
2. 왜 주목받고 있나?
ㅇ 1971년 닉슨의 중국 방문 때 침 치료의 효과가 서구사회에 알려진 이후, WHO는 침 치료가 많은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인식함.¹ 미국등에서진통제남용으로 인한 약물 중독의 대안으로 침 치료의 통증 제어 효과에 주목. 뇌영상 기술의 발전으로 침 치료의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³ 두침, 전기침 등 침 치료기술 자체의 발전 등의 이유로 세계적으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
 
▪ 중국의 침 연구자인 북경대 신경과학연구소 Han Jisheng(韓濟生) 교수는 경락을 신경계로 설명하는 ‘신경학설’, 즉 침의 효과가 신경으로 전달된다고 주장
▪ 1997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한의학의 침에 대해 수술 후 화학요법에 따른 구역, 구토, 수술 후 통증 등을 억제하는 데 효능이 있으며, 또한 약물중독, 뇌졸중 재활, 두통, 월경 시 경련, 섬유근육통, 관절염, 요통, 천식, 불안·공포, 불면증의 대체 치료법으로 유용하다는 입장을 발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