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감염병 방역기술 (2021-15)
- 등록일2021-12-31
- 조회수4198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12-08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위생#감염병#코로나-19
- 첨부파일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감염병 방역기술 (2021-15)
◈목차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산업동향
제4장 정책동향
제5장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본문
제1장 개요
1.1. 작성 배경
보건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진단・치료・백신・방역기술)이 발달했음에도 불구하고 감염병의 전 세계적 유행・확산이 반복되면서 많은 인명 피해와 함께 경제・사회적 손실이 발생
l 고대 시대 아테네 역병을 시작으로 중세 시대 흑사병, 근・현대 시대 스페인 독감 등 감염병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지속적으로 발생
- 흑사병으로 당시 유럽 인구의 약 30%가 희생되었고, 스페인 독감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3%가 죽은 것으로 알려짐
l 과학기술이 발전하였음에도 전염병은 현대 시대에도 지속적으로 발병하였으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는 21세기를 감염병의 시대로 규정
- 2002년 사스(SARS), 2009년 신종 플루, 2012년 메르스(MERS),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 2019년 코로나-19(COVID-19) 등 다양한 감염병이 유행
- 2020년 한 해 동안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최소 5조 달러 국내총생산(GDP) 감소1)
교역과 교통의 발달로 국지적으로 유행하던 감염병이 광범위하고 빠르게 전파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감염병의 발생, 유행을 미리 막는 방역의 중요성이 대두
l 지역 단위로 유행하던 감염병이 실크로드, 신항로 개척 등을 통해 대륙과 대륙 간으로 전파되기 시작되었으며 매우 느리게 확산이 이루어짐
- 흑사병, 천연두, 콜레라 등 과거 감염병은 새롭게 개척된 교역망을 통해 대륙과 대륙 간 전염이 시작되었으나, 교통수단의 미발달로 수년~수십 년에 걸쳐 전파가 진행됨
1) Andrew P. Dobson. et. al. (2020). 「Ecology and Economics for Pandemic Prevention」. SCIENCE 2020, Vol369, Issue 65027.
2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15호
감염병 방역기술
l 최근 감염병은 기술의 발달과 국제화로 인해 전 세계적인 교역이 이루어짐에 따라 빠른 시일에 전 세계적으로 유행・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음
- 코로나-19의 경우 2019년 11월 중국에서 최초로 발생한 이후 2020년 3월 말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로 확산되었으며, 2021년 12월 기준 200개국 이상에서 환자가 발생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