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구강내장치를 이용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안전성, 유효성 평가 및 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등록일2022-01-14
  • 조회수362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08-31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구강내장치#수면무호흡증 치료
  • 첨부파일
    • pdf 구강내장치를 이용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안전성 유효성... (다운로드 45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구강내장치를 이용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안전성, 유효성 평가 및 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목차


요약문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현황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고찰
Ⅵ. 참고문헌
Ⅶ. 부록




◈본문


요약문
 

▢ 연구 배경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시 반복적인 기도의 부분 또는 완전한 폐쇄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수면 중 반복적인 저산소증이나 무산소증에 노출될 경우 단순한 수면 방해에 따른 수면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만성질환의 발병과 악화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여 전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양압기 또는 구강내장치를 이용하는 비수술적 방법과 수술적 방법이 있다. 이 중 구강내장치 치료는 수면 시 기도를 확보하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하악을 앞으로 내밀어 착용하게 하는 하악전방위치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이하 MAD) 형태가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강내장치는 다른 치료 방법에 비하여 편리하여 순응도가 높은 편이며, 적절한 환자에게 적용 시 양압기 치료에 준하는 치료 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적응증에 해당하지 않는 환자에게 적용하거나 잘못된 방법이나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 또는 치료 후 나타난 부작용을 올바르게 관리하지 못한다면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턱관절 질환이 발생하는 등 안전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구강내장치 치료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치료 효과, 치료 반응자의 특성, 부작용 평가 등을 통한 근거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치료가 필요하며, 특히 구강내장치를 시행하는 의료인이 활용할 수 있는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 연구 목적
구강내장치 치료를 받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임상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구강내장치 치료에 대한 안전성, 유효성을 평가하고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 치료에 대한 구강내장치 치료 임상 가이드라인을 개발한다.
 
 
▢ 연구 방법
 
2000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연세대학교치과병원, 아산병원, 단국대학교치과병원 및 경북대학교치과병원에 수면무호흡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을 진단받고 구강내장치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예후 및 부작용 발생 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및 임상검사를 수행하였다. 전화 또는 대면 설문 조사를 통해 구강내장치 평균 사용시간, 치료효과 평가, 순응도 및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내원하여 추가 검사 시행에 동의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 및 측면두부계측 방사선 분석 검사를 수행하여 구강내장치 치료 전·후의 지표 변화 및 턱관절 상태 등을 비교하였다. 추가 검사를 수행하지 못한 경우 후향적 의무기록조사를 통해 구강내장치 치료 전·후 임상결과를 확인하였다.
 
치료 반응자는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이하 AHI) <10 또는 AHI 50% 이상 감소로 정의 하였으며, 치료 반응자와 비반응자의 일반적인 특성, 수면다원검사 및 측모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의 분석 결과를 비교 평가하여 치료 반응자의특징을 파악하였다. 각 항목의 평균비교와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주요 요인으로 로지스틱 분석과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구강내장치 치료의 예측인자를 확인하였다. 설문조사 응답 내용은 현재 장치 착용자와 미착용자로 나누어 일반적인 특징, 수면다원검사 결과 및 각 설문항목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으며, 부작용과 관련된 항목의 분석을 통하여 구강내장치 치료의 안전성과 사후 관리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위의 임상연구 결과와 기존 문헌고찰 내용을 근거로 하고 국내 실정을 고려하여 연구 참여자와 전문가자문위원의 회의를 통하여 구강내장치 치료 임상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 연구 결과
 
1. 구강내장치 치료의 효과 (유효성)
 
가. 두 가지 성공기준을 각각 적용하여 평가한 유효성은 AHI<10의 경우 42.3%, AHI 50% 감소는 54.6%로 나타났다.
나. 구강내장치 치료 전 AHI 중증도에 따른 유효성의 평가는 AHI<10 기준으로 경증 77.4%, 중등증 61.3%, 중증 17.6% 이며, AHI 50% 기준으로 경증 41.9%, 중 등증 67.7%, 중증 54.4%로 관찰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