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의 발생 현황과 고위험군 선별을 위한 위험요인 분석
- 등록일2022-01-19
- 조회수363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08-31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골수계 종양#고위험군 선별#위험요인 분석
- 첨부파일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의 발생 현황과 고위험군 선별을 위한 위험요인 분석
◈목차
요약문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과 요약 및 고찰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Ⅶ. 참고문헌
◈본문
요약문
▢ 서 론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therapy-related myeloid neoplasms)’은 선행암에 대한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 의한 유전적 손상으로 인하여 새롭게 발생한 골수형성이상증후군, 급성 골수성 백혈병 등 골수계 혈액암을 의미한다.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로 인한 세포의 손상으로 짧게는 1년에서 길게는 10년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다수는 5년 이내에 발생한다.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은 1) 예후가 좋지 않고, 2) 선행암의 치료로 이미 상당한 부담을 겪은 환자들에게서 치료에 고비용이 소요되는 난치 혈액암의 속발로 인한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파탄의 우려가 있으며, 3) 학술적으로는 이차암 발생 기전 연구에 유용한 모델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이차암 질환군이다.
최근 정밀한 유전자 분석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선행암 진단 시 혈액검사에서 ‘클론성 조혈증(clonal hematopoiesis; 혹은 clonal hematopoiesis of indeterminant potential; CHIP)’으로 불리는 혈액 조혈세포의 일부 특정 유전자 변이가 존재할 경우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점이 알려졌다. 이를 통하여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은 혈액암의 병인 탐구를 위한 더욱 중요한 모델로 떠올랐다. 그러나 절대적인 발생률이 낮아 선행암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을 장기간 추적 관찰하는 양질의 대규모 암 코호트를 만들고 유지하기 어려워 그 중요성에 비하여 잘 구성된 연구가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암등록자료와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연계하여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의 국내 현황을 파악하고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의 발생 고위험군을 적절히 정의함으로써, 선제적인 유전자 검사와 암 백신 등 새로운 화학적 예방요법(chemo-prevention)에 대한 임상연구의 적절한 대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의 발생 현황과 고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하여 국립암센터 암등록 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2009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선행암을 진단받은 암등록자료에 등록된 성인으로 선행암 코호트를 구축하였으며, 해당 대상자들의 2002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연계하여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 발생에 대한 후향적 추적관찰 코호트(retrospective cohort)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암이 발생한 신환자 중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을 받은 환자로 정의하였으며 선행암으로는 일부 희귀암과 골수계종양을 제외하고 독립적인 특징이 있는 원발성 고형암과, 림프계 종양, 형질세포종양을 분석 대상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선행암 코호트에 등록된 환자들을 2009년 7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추적관찰하여 대상자의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 발생 여부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추적관찰은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이 발생하거나, 본 연구의 최대 추적관찰 기간인 2019년 12월 31일이 되는 경우 종료하였다.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과 골수형성이상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MDS)으로 정의하였으며 산정특례(V193, V194) 2회 이상 청구와 함께 국제질병분류(ICD-10)에 따라 아래의 상병코드를 이용하였다.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의 위험도(risk) 분석은 선행암 코호트에 등록된 환자들 중 항암화학요법(단클론항체 치료 등 표적 치료 포함), 방사선치료,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치료를 받은 대상자의 선행암 진단 시 평균연령, 성별, 원발암의 병기와 치료 내역(항암화학요법 단독, 방사선치료 단독, 두 요법 병합, 방사성동위원소 단독 등으로 분류)을 선행암종별로 분석하고 대상자에서의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의 표준화 발생비와 누적발생률을 분석하였다.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의 발생 위험은 표준화 발생비(standardized incidence ratio, SIR=observed/expected)와 95% 신뢰구간(Poisson-based 95% confidence intervals)으로 추정하였다. 표준화 발생비는 일반인구집단에서의 골수계 종양 발생률에 대비하여 본 연구의 최종 코호트에서의 골수계 종양발생률을 비교하는 비율의 형태이다. 이때 비교집단이 되는 일반인구집단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로 정의하고 건강보험공단에 청구된 모든 골수계 종양으로 5세 연령 그룹 및 성별에 따라 기대빈도를 계산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