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전기상용차 (2021-16)

  • 등록일2022-01-27
  • 조회수3599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21-12-2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전기상용차#친환경화
  • 첨부파일


전기상용차 (2021-16)


◈목차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산업동향
제4장 정책동향
제5장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본문


제1장 개요


1.1. 배경 및 필요성
 

□ 자동차 산업은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으로서, 친환경화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에 힘입어 친환경자동차(이하 친환경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음
○ 기후변화 주요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자동차 부문의 비중이 높아 친환경차로의 전환 없이는 탄소중립 실현은 불가함
 
○ 세계 주요국은 친환경차로의 전환을 위해 자동차 산업의 환경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무탄소 배출 차량 의무화 정책 등을 발표하면서 친환경화를 가속화하고 있음
- 내연기관 자동차(이하 내연차)의 배출가스 저감 효율화와 함께 무탄소 배출을 목표로 내연차 판매를 전면 중단*하는 등의 정책1)에 초점을 두고 있음
*노르웨이(‘25), 독일(’30), 중국(’35), 미국 캘리포니아(’35), 영국(‘40), 프랑스(‘40) 등

캡처1.png

○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산업의 친환경 전환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친환경차 시장은 점차 확대되고 있음
 

캡처2.png

 
□ 전기차(BEV)는 기존 내연기관 및 친환경 후보 차량* 대비 다양한 강점을 보유하고 있어 친환경차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것
*친환경차 종류 : 전기차(BEV), 수소차(FCEV), 하이브리드차(HEV) 등으로 1.2장에서 상세 설명
○ (환경성) 운행 중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CO2나 NOx를 배출하지 않으며, 소음 및 진동이 적음
 
○ (경제성) 모터와 배터리로만 구동하여 운행비용이 저렴하고, 배터리 가격 하락 및 구매 보조금 지원으로 차량 구매 비용 또한 내연차 수준으로 저렴해질 전망
 
○ (편리성) 내연차 및 수소차 대비 충전 속도는 길지만, 충전 인프라 확대가 이루어질 경우 충전 공간의 제약이 적고 충전 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편리성의 증대 가능성이 높음
 
○ (생태계) 기존 내연차社와 부품社 중심의 폐쇄적・수직적 산업구조에서 배터리, 모터, 충전기 등의 새로운 플레이어의 진입으로 개방적・수평적 구조로 변화
 
 
□ 특히, 버스, 트럭 등 상용차 부문은 다른 차종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고 화석 연료 의존도가 가장 높아 친환경화가 요구됨
○ 세계적으로 상용차는 다른 차종에 비해 시장점유율이 10% 수준이나, CO2 배출 비중은 46%로 가장 높고, 국내는 상용차 1대 당 CO2 배출량이 승용차보다 2.5배(트럭), 16배(버스) 수준2)
 
○ 수송부문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에너지원은 석유이며, 향후 승용차의 석유 의존도는 낮아질 전망이나, 아래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물 수송용 트럭의 의존도는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