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관절액 제거 시술(관절천자)

  • 등록일2022-02-04
  • 조회수3783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01-31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관절액 제거
  • 첨부파일


관절액 제거 시술(관절천자)


◈목차


요약문 (국문)

Ⅰ. 서론
Ⅱ. 평가방법
Ⅲ. 평가결과
Ⅳ. 결과요약 및 결론
Ⅴ. 참고문헌
Ⅵ. 부록




◈본문


요약문 (국문)


평가 배경
 

관절천자는 주사 바늘을 이용하여 관절강 속의 활액을 뽑아내어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술로, 건강보험요양급여목록 필수급여 등재된 기술이다. 의료기술재평가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를 수용하는 목적으로 수행된 ‘2020년 연구주제 대국민 수요조사’에서 HTA 국민 참여단은 관절액을 제거하는 시술을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안전하고 유효한지에 대한 의문을 제안하였다. 이에 보건의료서비스의 적정사용에 대한 대국민 정보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재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2020
년 제9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0.09.11.)에서 의료기술재평가 안건으로 선정되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치료목적 관절천자의 임상적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관절천자가 임상적으로 안전하고 유효한지를 평가하였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관절천자의 이용현황을 파악하였다. 본 평가를 위해 총 5인(정형외과 2인, 류마티스내과 1인, 재활의학과 1인, 근거기반의학 1인)으로 소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2020년 11월 19일부터 2021년 7월 30일까지 4회의 소위원회를 통해 동 기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의 평가대상은 치료적 유효성을 문헌을 통해 판단하기 어려운 감염성 질환은 배제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및 골관절염, 외상(골절 등)으로 인한 관절혈종, 혈우병 및 항응고요법 적용, 원인미상의 삼출물 또는 활액막염으로 구분하였다. 안전성은 관절천자 시술로 인한 부작용 및 합병증(통증, 출혈, 감염, 사망 등)으로 평가하였고, 유효성은 통증 개선 정도, 관절가동범위 개선 정도, 임상증상 소실 기간, 재발, 일상 회복 기간 등의 지표로 평가하였다. 문헌의 비뚤림위험 평가는 연구설계에 따른 평가도구(RoB, RoBANS)를 사용하여 두 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수행 후 의견 합의를 이루었다. 자료추출은 미리 정해놓은 양식을 활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의견 불일치가 있을 경우 제 3자와 함께 논의하여 합의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별 보고 및 지표 방식이 다양하여 개별 연구에서 제시한 안전성 및 유효성 관련 결과를 질적으로 기술하여 검토하였다. 본 평가에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는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GRADE)을 이용하여 근거수준을 평가하였다.
 
의료이용 현황분석과 관련하여 국내 관절천자의 시행규모 및 이용자 현황, 비용, 요양기관 종별현황, 상위 10순위 상병 연도별 추세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빈도 상병을 연간 10순위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균값은 환자수 대비, 시술건수 기준으로 환산하여 제시하였다.
 
본 평가는 관절천자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소위원회 논의를 통해 관절천자와 관련한 주의사항에 대한 대국민 정보를 별도 제시하였다.
 
 
 
평가 결과
 
관절천자 평가에 선택된 문헌은 총 16편으로, 질환별로 구분하여 골관절염 1편, 외상(골절 등)으로 인한 관절혈종 7편, 혈우병 및 항응고요법 적용 5편, 원인미상의 삼출물 또는 활액막염 3편이 해당하였다.
 
 
 
안전성
 
전체 16편 중 관절천자 안전성을 보고한 문헌은 총 10편(비무작위 비교연구 3편, 단일군 연구 7편)이었다.
 
임상적 안전성 지표로 통증, 출혈, 감염, 사망, 그 외 기타 이상반응 발생을 검토하였다. 단일군 연구 3편에서 시술대상 중 0~5.2%에서 통증 발생을 보고하였으며, 5편에서 0~0.9%의 출혈 발생을 보고하였다. 관절천자로 인한 감염 발생은 비무작위 비교연구 및 단일군 연구 4편에서 0~0.2%로 보고하였다. 또한 단일군 연구 1편에서 시술과 관련한 사망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문헌상 분류가 모호한 기타 이상반응에 대해 보고한 단일군 연구 1편에서 천자 부위와 직접적으로 관련한 합병증(홍반, 멍, 통증)이 123명 중 2명(1.6%)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였고, 그 외 3편(비무작위 비교연구 1편, 단일군 연구 2편)에서 관절천자와 관련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