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한국의료패널로 살펴본 건강행동 변화(2010~2018년): 성인과 노인의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실천

  • 등록일2022-02-22
  • 조회수3917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1-08-02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의료패널
  • 첨부파일


한국의료패널로 살펴본 건강행동 변화(2010~2018년): 성인과 노인의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실천


◈목차


01. 들어가며

02. 성별·연령별 건강행동 변화
03. 교육 수준별 건강행동 변화
04. 나가며




◈본문


01. 들어가며


◆ 건강행동은 건강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은 개인이 

바꾸기 쉽지 않은 데 비해 건강행동은 행동을 바꿈으로써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Newsom et al., 2012).
● 올해 발표된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30, 2021~2030)」에서는 현재 흡연율, 고위험 
음주율, 신체활동 실천율을 대표지표로 선정하였으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계획임
 
◆ 우리나라 국민의 의료이용 실태와 의료이용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2008년부터 
한국의료패널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음.
● 1기 한국의료패널은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표본추출한 8000가구를 대상으로 매년 
조사를 진행해 1기 한국의료패널 2008~2018년 연간 데이터를 생산하였음.
 - 1차 연도 패널 가구의 탈락을 보완하고 대표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2012년 약 2500가구를 추가로 표본추출함.
 
◆ 이 글에서는 1기 한국의료패널 연간 데이터를 사용하여 2010~2018년 건강행동이 모두 조사된 18세 이상 
성인(남자 3,364명, 여자 4,353명)1)을 대상으로 9년간 추적 조사한 건강행동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함의를 논의하고자 함.
 
02. 성별·연령별 건강행동 변화
 
가. 흡연
 
◆ 2010~2018년 한국의료패널조사에 모두 참여한 성인의 현재 흡연율2)을 살펴보면, 남자는 흡연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여자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음(그림 1 참조).
● 남자의 현재 흡연율은 2010년 45.4%에서 2018년 33.8%로 감소하였고, 여자는 2010년 2.7%, 2012년 2.5%, 
2014년 2.6%, 2016년 2.1%, 2018년 2.0%로 2% 내외의 현재 흡연율을 보임. 
 
◆ 2010년 시점에 노인이었던 남자와 18~64세 성인이었던 남자의 흡연율 변화를 비교하면, 2010년 65세 이상 
노인의 흡연율은 31.6%로 18~64세의 49.0%보다 낮았고 두 군 모두 흡연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음.
● 2010년에 18~64세였던 남자의 흡연율은 9년간 10.8%포인트(2010년 49.0% → 2018년 38.2%) 감소하였고, 
2010년에 65세 이상 노인이었던 남자의 흡연율은 14.7%포인트(2010년 31.6% → 2018년 16.9%) 감소하여 
노인 인구집단의 흡연율 감소폭이 더 컸음.
 
◆ 여자는 2010년 65세 이상 노인의 흡연율이 4.2%로 18~64세 여자의 2.2%보다 다소 높았으나 흡연율의 
절댓값이 작고 값의 변동이 있어 연령에 따른 변화 차이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움
 

캡쳐1.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