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21 농림축산식품 학술연구동향 Brief
- 등록일2022-02-24
- 조회수3709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22-01-03
-
출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학술연구동향
- 첨부파일
2021 농림축산식품 학술연구동향 Brief
◈목차
분무를 통한 작물의 생육조절
공생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식물 진화
농업 다각화는 수확량 저하없이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촉진
작물에서의 광유전학 적용 가능성
DNA 수선을 통한 작물의 기후변화 대응전략
식물 유전체 교정기술의 패러다임 전환
가상 수분 무역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전 세계적 의존도를 알 수 있음
... 등
◈본문
분무를 통한 작물의 생육조절
▶ 선정 배경
• 유전적 요소를 활용한 작물의 성장조절은 일반적으로 전통육종 또는 첨단육종방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자의 파종이후에는 조절이 어렵다는 한계요인 존재
• 바이러스 형질감염기술(viral transfection technology’은 바이러스성 물질의 분무(spray)를 통해 작물의 생육을 촉진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신기술로서, 유전적 수정(modification)이 필요 없으며 작물의 성장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생육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 존재
▶ 내용
• 작물은 종자형태로 땅에 심겨지는 순간, 유전적 요소들뿐만 아니라 관리적 요소들(땅고르기, 파종시기, 작물간격 등)이 함께 결정되는 형태
• 하지만, 작물의 생육에 핵심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소들은 ‘불확실성’으로 대변되며, 이에 효과적 대응을 통해 작물의 지속가능한 생산성과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노력이 진행 중
• ‘바이러스 형질감염기술’을 활용할 경우, 바이러스성 성분들을 함유한 용액을 작물에 분무하여 실시간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용유전자들의 발현을 on 또는 off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물의 성장을 억제 또는 촉진 가능
- RNA 단편을 함유하고 있는 파란색 용약은 유용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며, 빨간색 용약(유용유전자 함유)과의 선별적 분무를 통해 실시간으로 환경변화를 반영한 작물의 생육을 조절
▶ 시사점
• 유전적 요소의 조절(유전자 교정, GMO 등)은 작물의 생산성 확보측면에서 효과가 분명한 첨단육종기술이지만, 유전적 변화를 포함하는 농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아직도 부정적 측면이 강세
• ‘바이러스 형질감염기술’을 활용한 작물의 생육조절은 유전적 변화가 필요 없기 때문에 소비자 수용성 확보뿐만 아니라 실시간 환경변화에 대응이 가능한 새로운 기술
• ‘현재 단일유전자의 발현조절이 가능한 상황이지만, 이는 다양한 용액의 분무를 통해 일정부분 해결이 가능하며, 기술적 고도화가 진행될 경우 다양한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 방안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