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ETRI, AI 기반 스트레스 관리 플랫폼 만든다
- 등록일2022-02-24
- 조회수4191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02-09
-
출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트레스 관리 플랫폼#AI
- 첨부파일
ETRI, AI 기반 스트레스 관리 플랫폼 만든다
◈목차
ETRI, AI 기반 스트레스 관리 플랫폼 만든다
참고1 -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완화) 시스템 구성도
참고2 - 웨어러블 다비이스 기반 스트레스 측정 실험 장면
참고3 -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VR 콘텐츠
◈본문
ETRI, AI 기반 스트레스 관리 플랫폼 만든다
국내 연구진이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근로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측정·분석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AI가 적용된 정확한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를 통해 건강 관리가 더욱 편리해질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스트레스 상태를 분석 후,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들어서면서 스마트워치, 스마트밴드 등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헬스케어 산업의 기술력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건강상태 측정 기술과 달리 직장 스트레스 솔루션과 연동되는 기술은 미비한 실정이다.
ETRI가 개발하고 있는 플랫폼,‘웰마인드(WellMind)’는 앱(App) 형태로서 스트레스 관리의 전(全)주기를 책임지는 기술이다. [참고 1]
기존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스트레스 관리는 맥파, 심전도, 뇌파, 피부전도도, 피부온도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수집하지만, 개인이 느끼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이 다양해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웰마인드는 웨어러블 기기뿐 아니라 센서와 연동하여 온도, 습도, 소음, 미세먼지, 조명 등 근무환경 분석 및 근무시간, 업무 스케쥴 등 작업정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더욱 정밀하게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를 측정한다. [참고 2]
웰마인드의 AI 분석 모델은 수집된 모든 데이터를 학습데이터와 비교·분석해 근로자의 스트레스 상태를 판단한다. 연구책임자인 ETRI 김현숙 책임연구원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하는 기술이 핵심이라며 현재 분석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데이터를 축적하는 단계라고 덧붙였다.
실시간으로 직무 일정을 모니터링해 업무 스케쥴을 고려한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해소법을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앱을 통해 수집된 설문 정보도 함께 활용해 정교하다.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와 선호도에 따라 차 마시기, 음악 듣기, 스트레칭하기, 명상 등 가장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앱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 전·후 상태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스트레스 관리가 용이하다. 근로자의 업무능률 및 생산성 향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연구진은 현재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VR 콘텐츠 제작을 완료하였으며 연구원 내 리빙랩 현장 중심 문제해결을 위해 실제 생활공간에서 연구·실험하는 공간을 구축해 스트레스 측정 및 솔루션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있다. [참고 3]
향후 연구진은 AI 분석 모델의 완성도를 높여 직장인을 대상으로 최적화 후 활용처를 넓혀나갈 방침이다. 국내외 디지털 헬스업체 등에 기술이전해 개인 헬스케어 서비스 확산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디지털 기술(인터넷, AI 등)이 기억력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2025-04-22
- BioINwatch 어떻게 하면 단백질 구조 만큼 RNA 구조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까? 2025-04-03
- BioINwatch AI 기반 De novo 단백질 설계를 통한 항독소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 2025-03-11
- BioINwatch 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2025-02-14
- BioINwatch AI 가상 실험실(AI virtual lab)에서 개발한 나노바디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