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근감소증(Sarcopenia) 치료제 개발 동향

  • 등록일2022-02-28
  • 조회수562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02-10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근감소증#Sarcopenia
  • 첨부파일

 

근감소증(Sarcopenia) 치료제 개발 동향


김영호 심사역(클레어보이언트벤처스)

정광일 전무(바이오리더스)



우리나라는 2020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인구의 16.4%를 차지하는 고령사회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10년 내에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 건강 문제는 개인의 관심을 넘어 국가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노인의 건강 문제는 노화에 따른 신체 내 변화로 다양한 질병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아직 많은 사람들이 근감소증(Sarcopenia)에 대해서는 인지가 부족한 실정이다.


근감소증이란 노화에 따라 근육량이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노화에 따른 근육량 감소를 자연적인 현상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근감소증 환자는 걸음걸이가 늦어지고 근지구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이 어렵고 다른 사람의 도움이 자주 필요할 뿐 아니라, 골다공증, 낙상, 골절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근육의 혈액 및 호르몬 완충작용이 줄어들어 기초대사량이 감소하고 만성질환 조절이 어렵게 되며,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이 쉽게 악화될 수 있다. 이에, 최근 전 세계적으로 근감소증을 노인성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6년 11월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는 세계 최초로 근감소증 현상에 대하여 질병코드(M62.84)를 부여했으며, 같은 해 세계보건기구에서도 근감소증을 질병으로 분류했다. 2018년 4월 일본에서도 근감소증을 질병으로 인정했고, 2021년 우리나라 또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8차 개정안에서 근감소증을 처음으로 질병코드(M62.5)로 부여하여 근감소증을 질병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시장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분위기이다. 아직 규제기관으로부터 정식 승인된 치료제는 없지만, 현재 영양제를 중심으로 한 근감소증 관련 헬스케어 시장은 2020년 26억 달러 규모로 드러났으며, 2030년까지 연평균 6.1% 성장해 47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 6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고령 인구 증가와 예방 의료에 대한 관심증가로 근감소증 치료제에 대한 니즈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브리프에서는 근감소증 치료제를 개발 중인 국내외 기업 중심으로 개발 동향을 짧게 살펴본다.


...................(계속)


https://www.koreabio.org/board/board.php?bo_table=brief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