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주간기술동향 2035호 - ICT 신기술
- 등록일2022-03-08
- 조회수4207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22-03-02
-
출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T FIND)
- 원문링크
-
키워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T FIND#주간기술동향#ICT동향
- 첨부파일
주간기술동향 2035호
◈목차
◈본문
CHAPTER 1. 6G 광통신 인프라 핵심기술 전망과 동향
강헌식_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6G 이동통신 기술은 자연스러운 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테라급에 이르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초고속 무선 전송속도와 더불어, 데이터를 무선 접점 구간까지 전달해
주는 유선 구간의 광통신 인프라 또한 6G 초성능 분야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네트워크 인프라 요소이다.
본 고에서는 6G 주요 기술 분야 중 초성능ㆍ초대역 무선전송을 받쳐줄 광통신 인프라로서, 광액세스 및
인도어망의 주요 핵심기술들에 대한 전망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I. 서론
미래에는 모든 객체가 실시간으로 디지털화되고 연결되는 데이터 중심 사회로 전환될 것 으로 예측되며, 이의 실현을 위해 글로벌 선진 국가 및 기업들은 6G 이동통신 선점을 위한 연구 개발에 착수하여 최근에 주요 비전 및 주요 기술 지표를 제시하였다. 우리 또한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초성능, 초대역 등 6대 중점 분야를 선정하고 이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사업을 진행 중이다[1]. 이를 통해 실현될 6G 사회에서는 완전자율주행차, 3D 홀로그램,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및 디지 털 트윈 등과 같은 융합 서비스가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도록 Tbps(Tera bits per second)급 최대 전송속도 및 Gbps(Giga bits per second)급 체감 전송속도를 요구하 고 있다[2]. 이를 위해서는 초고속 무선 전송속도와 더불어 데이터를 무선 접점 구간까지 전달해 주는 유선 구간의 광통신 인프라 또한 6G 초성능 분야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네트 워크 인프라 요소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6G 서비스 전달을 위한 광통신 인프라로서 광전달 망, 데이터센터망, 광액세스망, 인도어망 등의 전반적인 수용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광액 세스망(Optical Access Network: OAN)과 인도어망(InDoor Network: IDN)은 무선 접 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로, 사용자와의 접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6G 구축을 위해 수용되어야 할 우선적인 광통신 인프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6G 주요 기술 분야 중 광통신과 연관된 초성능ㆍ초대역 무선전송을 받쳐 줄 유선 인프라로, 광액세스망과 인도어망의 주요 핵심기술들에 대한 전망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한 관련된 모든 기술을 살펴보는 것은 현재 6G 개발 단계로 볼 때 사실상 불가능하며, 여기에서는 초고속 무선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광전송 기술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II장에서는 6G 광액세스 핵심기술 전망 및 동향을 살펴보 고 III 장에서는 인도어망에 대한 전망과 동향을 알아본 뒤, 글을 맺고자 한다.
* 본 내용은 강헌식 책임연구원(☎ 042-860-4872, gadin@etri.re.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 본 연구는 2022년도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IITP)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 2021-0-00809, Tbps급 광통신 인프라 기술 개발)
II. 6G 광액세스 핵심기술 전망 및 동향
1. RAN 구조 진화
전통적으로 광액세스망은 수동형 가입자망(Passive Optical Network: PON)을 일컫는
것으로 유선 가입자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축되었다. 모바일 기술 진화로 인한 망 운영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한 RAN 구축 문제가 제기되면서 광통신이 필수적인 연결망
으로 대두되었다. 일체형 기지국 형태의 D-RAN(Distributed-RAN) 구조에서, 데이터 처리
를 담당하는 BBU(BaseBand Unit)와 무선 송수신을 담당하는 RU(Radio Unit)를 분리하
고 이를 광통신으로 접속하는 C-RAN(Centralized 또는 Cloud-RAN) 구조가 출현하였다
[3]. 이러한 구조에서 다시 집중화된 BBU 장비들을 가상화가 가능한 서버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구조로 발전하였으며, 이는 CU(Central Unit), DU(Distributed Unit) 및 AAU
(Active Antenna Unit)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된다[4]. 이로 인해 RAN 접속 구간은 모바
일 프론트홀(Mobile Fronthaul: MFH, DU와 RU 구간), 모바일 미드홀(Mobile Mid-Haul:
MMH, CU와 DU 구간) 그리고 모바일 백홀(Mobile Backhaul: MBH, 코어망과 CU 구간)로 구분되는 접속망이 생겼다[5].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