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제209호 과학기술&ICT 동향
- 등록일2022-03-10
- 조회수3920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3-04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과학기술&ICT 동향#ICT동향
- 첨부파일
제209호 과학기술&ICT 동향
◈목차
Ⅰ 이슈 분석: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Ⅱ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하원 2022년 미국 경쟁법 발표
미국, 청정에너지 투자를 위한 부처 조정
일본, 기후전환금융 관련 시멘트, 제지・펄프분야 기술 로드맵(안) 발표
중국, <외국 특허대리기관의 중국 상주 대표기관 설립 관리 방법> 발표
영국, 지식재산권 침해 방지전략 발표
독일, 허위정보・가짜뉴스 식별 및 방지를 위한 10개 프로젝트
WEF, 글로벌 스마트 산업 대비 지수 발표
UNEP, 새로운 플라스틱 경제 글로벌 공약 진행 보고서 발표
2. ICT
태블로, 2022년 5대 데이터 트렌드 전망 발표
차세대 우주・통신 산업 이끌 ‘위성통신 시장’ 선점 경쟁 각축
반도체 시장 대형 M&A 제동 속 新산업분야 인수는 활기
삼성전자・애플・샤오미, 2022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총공세
韓, 공공와이파이(Wi-Fi) 확대 본격화…모바일 이용 편의 제고
인공지능 기반 ‘가상인간’…스스로 학습하고 소통하며 진일보
3.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4. 주요 통계
◈본문
Ⅰ.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의 가능성
1. 개요
■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단절의 시대에 대면 학교 교육 및 생활 부족으로 대두되는 학력격차, 정서 불안, 사회성 저하 등의 교육적 이슈들을 메타버스(Metaverse) 기술의 교육적 활용이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함
○ ‘다음 일상’*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의 우리의 삶은 학습(Learning)을 비롯한 8개 분야**에서의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
* 다음 일상(the Next Normal), 맥킨지&컴퍼니(McKinsey&Company) 2020년 8월 ** 일, 학습, 대화와 정보, 여행과 이동, 쇼핑과 소비, 가정에서의 삶, 놀이와 엔터테인먼트,
건강과 웰빙
○ 후속 맥킨지&컴퍼니 보고서에서는 학습은 보다 더 개별화되어야 하고, 목적 지향적으로 변해야 한다고 주장
- 같은 맥락에서 2030년에는 많은 직업군에서 기술적, 사회적, 그리고 정서적 역량이 지금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이라고 예상
■ 한국의 원격수업은 성공적인 시작을 전 세계에 알린 바 있음
○ 전 세계의 모든 분야에서 변화를 가져온 팬데믹은 원격수업의 활성화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술 기반 교육의 현장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등 긍정적인 면 존재
○ 원격수업 준비도*의 네 가지 측면**에서 한국과 같이 코로나 팬데믹 초반에 인프라 지원, 콘텐츠 확보 그리고 교원/학부모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갖춘 국가는 드물게 나타남
* the readiness of distance learning
** 인프라(컴퓨터, 인터넷, 학습관리시스템), 콘텐츠(원격수업에서의 교과/비교과 콘텐츠), 교원/학부모 지원, 평가
○ 2021년 새로이 론칭한 OECD 교육 분야에서의 스마트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 프로젝트에서는 2020년과 2021년에 걸쳐 진행한 OECD 온라인 콘퍼런스를 통하여 한국의 사례를 발표한 바 있음
* Smart Data and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 각 콘퍼런스를 통하여 OECD 타 국가에서는 여전히 초중등 교육 단계 공교육 범주 안에서의 인프라 확충과 교과 콘텐츠 확보 및 확산에 대한 논의를 지속
- 한국에서는 원격수업에서의 교원 역량 강화와 학부모 지원, 원격수업 모니터링과 평가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여 원격수업 준비도 측면에서의 우수성을 알림
■ 학력 격차, 소외계층에 대한 원격 교육 지원 부족, 코로나 블루로 인한 정서 교육의 필요성, 공동체 생활 부족으로 인한 사회성 교육에 대한 필요성 대두
○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비실시간 콘텐츠를 통한 교육뿐 아니라 실시간 원격수업 에서의 학생들의 몰입감과 학습 실제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
- 비대면 교육에서 흔히 사용하는 실시간 플랫폼인 Zoom, Webex, Naver whale-on과 같은 상용 플랫폼을 다양한 수업에서 활용
- 교수-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높일 수 있으나 학생 간 상호작용을 높여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기에는 한계 존재
- 또한 체육이나 과학실험과 같은 교과에서는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 존재
○ 이제는 2D 기반의 실시간 SW를 넘어서 3D 기반의 메타버스 기술이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교육적 이슈들의 대안이 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22-GT-BE-036)GT 글로벌산업기술시장동향 RobustSynapses 프로젝트 퇴행성 신경질환 원인 연구
-
다음글
- (2021-GT-BE-031)GT 글로벌산업기술시장동향_안전한 유방암 치료법 개발을 위한 나노운반체 프로젝트
관련정보
동향
- 제도동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행정기관위원회 현황 및 활동 내역서 2024-12-20
- 기술동향 [월간소식지] 과기정통부, ‘글로벌 기술 수준 지도’으로 한국 첨단바이오 기술 수준 공개 2024-08-07
-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월호] 과기정통부, 12대 국가전략기술 로드맵 완성 및 핵심 프로젝트 선정 2024-02-29
- 기술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3.11월호] 과기정통부, 합성생물학 핵심기술개발 및 확산전략 현장발표회 개최 2023-11-30
- 정책동향 과기정통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합성생물학 정책 논의 외 2023-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