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ISTEP 브리프] 미래 스마트 팩토리 유망 서비스
- 등록일2022-03-22
- 조회수3785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3-17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스마트 팩토리
- 첨부파일
[KISTEP 브리프] 미래 스마트 팩토리 유망 서비스
◈목차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스마트 팩토리 정책동향 및 환경분석
3. 국내 스마트 팩토리 당면과제 및 유망 서비스 도출
4. 국내 스마트 팩토리 활성화 방향
참고문헌
붙임
◈본문
1. 연구배경 및 목적
■ 연구배경
○ 국내 산업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수출 의존도가 높아 제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경쟁력 강화가 필수이며 특히, 4차 산업혁명의 대전환 시기에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음
- 우리나라의 GDP 대비 제조업의 비중('18년)은 27.5%를 차지하고, 총수출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97.3%로 한국은 제조업 중심으로 성장
○ 해외 주요국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서 제조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확대
○ 제조업과 ICT 융합 확대 및 친환경 제조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및 탄소 중립 구현을 위한 미래 유망 기술 및 솔루션 개발 필요성 증대
- 인공지능을 비롯한 첨단 ICT 기술의 발전과 산업간 융복합 촉진은 제조업의 디지털화와 서비스화를 가속하고, 탄소 저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미래 기술개발 수요 증대
○ 기술발전과 빠르게 변화하는 다양한 소비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의 유연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미래 스마트 팩토리 유망 기술개발 필요성 증대
■ 연구목적
○ 4차 산업혁명의 확대에 따른 제조 분야의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전개되면서 지능형 자율공장, 능동적 소비자 참여형 스마트 팩토리 등을 통해 미래지향적 제조혁신 및 新 가치 창출 필요
○ 이에, 기술예측 전문기관인 KISTEP과 국가 지능화 종합연구기관인 ETRI가 협력하여 제조 분야 산학연 전문가 자문 및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해 ① 국내 스마트 팩토리가 직면한 문제점 파악, ② 미래 스마트 팩토리 유망 서비스를 발굴하고 ③ 국내 스마트 팩토리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활성화 방향을 제언
2. 스마트 팩토리 정책동향 및 환경분석
■ 스마트 팩토리 개념 및 중요성
○ 스마트 팩토리 개념
-기획·설계→생산→유통·판매에 이르는 제조과정에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AI), 가상증강(AR/VR), 빅데이터, 5G 등을 적용하여 생산성·품질 향상과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자동화·지능형 공장
○ 우리나라에서 스마트 팩토리의 중요성
- (제조업 중심 국내 산업주도) 우리나라 GDP 대비 제조업의 비중(2018년)은 27.5%를 차지하고, 총수출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97.3%로 제조업 중심으로 성장 (산업연구원, 2021)
- (신성장 동력의 핵심산업) 세계시장 점유율 1위 품목 수가 정체되어 있고, 최근 10년간 신산업의 부상 없이 10대 주력산업이 그대로 유지 되는 상황에서 제조업 혁시능ㄹ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중요성 증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
- 정책동향 KISTEP Think 2025, 10대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2025-02-11
- 정책동향 [KISTEP InI Vol.48 / Spring 2024] 「2025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정부R&D 투자의 기본방향 2024-04-25
- 정책동향 2024년 국가 과학기술혁신 및 R&D 발전전략을 위한 'KISTEP Think 2024' 핵심 아젠다 발굴 연구 2024-01-31
- 기술동향 2024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2024-01-29
- 정책동향 [KISTEP InI Vol.47] HAPPY NEW YEAR 2024 -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 추진 배경과 주요 내용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