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11호
- 등록일2022-04-11
- 조회수4058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4-01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S&T)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S&T)#과학기술&ICT
- 첨부파일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목차
1. 이슈 분석: 메타버스 최근 동향과 시사점
2. 주요 동향
1.과학기술
미국, 국방부의 반도체 공급망 강화 방안 발표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 및 과제 논의
중국, 과학 10대 발전 발표
중국, ‘14.5’ 동・서부 과학기술협력 실시방안 발표
영국, 차세대 우주 과학 임무를 위한 정부 지원
영국, 1억 5천만 파운드 대출 계획으로 혁신 기업 지원
독일, 연구혁신위원회 보고서 주요 현황 및 권고안 제시
독일, 유럽 데이터 생태계 구축 GAIA-X 사업 지원
2. ICT
법정화폐 대안으로 존재감 발휘한 ‘암호화폐’ 규제 움직임도 활발
글로벌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폰 경쟁, 중저가 시장으로 확대
韓, 코로나19 재택 치료 환자 급증…‘비대면 진료 플랫폼’ 주목
미국, 국가안보 이유로 중국 기업 퇴출 지속적으로 확대
미국,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 위한 제도 개선 등 준비 속도
삼성・애플 빠진 ‘러시아’, 중국 스마트폰 업체의 기회와 위기 주목
3.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4. 주요 통계
◈본문
3. 韓, 코로나19 재택 치료 환자 급증…'비대면 진료 플랫폼' 주목
■ 진료・처방・약 배달까지, 코로나19가 가져온 비대면 진료 시대
○ 최근 오미크론 변이에 따른 감염 확산세로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가 30만 명을 넘어서고 확진 판정을 받고 집에서 스스로 치료하는 재택치료자만 200만 명에 육박하면서 비대면 진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
- 정부는 코로나19가 유행하자 2020년 2월부터 의료법상 불법인 비대면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
※ 의사 판단에 따라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경우, 환자가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전화 상담 및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원격 의료를 허용(보건복지부, 2020.2.22)
- 2020년 2월 2만 4,727명에 불과하던 원격 진료 환자 수는 1년 뒤인 2021년 1월 159만 2,651명으로 늘었으며 금년 1월 기준으로는 누적 352만 3,451명 으로 집계
- 특히 코로나19 초기만 해도 경증환자는 생활치료센터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현재는 확진자 급증으로 재택치료를 넘어 재택 ‘자가치료’로 정부 방침이 변경되면서 무료로 지급되던 약이 중단됨에 따라 비대면 진료 증가
- 비대면 진료 서비스는 환자가 앱에 개인 정보와 증상을 입력해서 원하는 진료
과목을 선택하면 병원을 연결해 전화, 화상 진료를 볼 수 있으며 처방전을 약국에 연결해서 약을 배송받을 수 있는 점이 특징
- 코로나19 사태 속 내원이 불가능한 여건에서 시간・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진료와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
닥터나우・닥터콜・올라케어・굿닥 등 국내 비대면 의료 플랫폼 급성장 코로나19 확진자 수의 폭발적인 증가와 방역 현장의 인력 부족으로 자택 격리 및 치료 비중이 늘어나면서 국내 비대면 의료 플랫폼 기업은 무료 진료・약 배송 등 코로나19 환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비대면 의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행보 가속
- 외출이 제한돼 대면 진료가 어려운 코로나19 확진자와 동거가족이 원격 상담과 처방을 적극 활용하면서 국내 비대면 의료 플랫폼 이용자 수가 대폭 증가
■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빅테크 기업도 비대면 의료 시장에 관심
○ (네이버) 금년 상반기 입주 예정인 경기도 성남시 제2사옥에 200평 규모의 사내 병원을 통해 본사 직원 4,300명을 대상으로 의료 인공지능 개발, 원격진료 등에 대한 테스트 준비에 나서며 원격의료 서비스 ‘네이버 케어(NAVER CARE)’ 준비 만전
- 제2사옥에서 직원 대상으로 건강검진과 가정의학과, 재활의학과, 이비인후과, 비뇨의학과, 내분비과 등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원격의료를 포함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내부에서 제공한 뒤 외부로 확대할 방침
- 또한 자사 인공지능 개발 전문 사내독립기업(CIC)인 클로바 개발자와 의료진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팀을 운영해 의료 특화 인공지능을 개발할 예정
- 이미 해외 계열사인 라인은 2020년 12월부터 일본에서 라인 앱으로 병원 검색・예약・진료・결제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라인 닥터’를 전개하며 비대면 진료 시장 진출
- 라인 닥터는 의료기관의 부담을 줄이고자 예약, 라인 영상통화, 결제 기능이 포함된 ‘베이직 플랜’을 초기 비용 및 월정액 비용 없이 무료로 제공하며 이용자 확보
○ (카카오) 싸이클럽 및 바이오패스포트와 메타버스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2021.12)하며 비대면 의료 시장 진출
- 협약을 통해 바이오패스포트는 카카오가 보유한 원격 화상 회의 플랫폼, 클라우드 기술, 보안, 인공지능을 이용하고, 싸이클럽이 보유한 블록체인 기술과 바이오패스포트 DID를 이용해 메타버스 비대면 의료 진료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
- 카카오는 의료 정보 및 관련 법령에 적합한 클라우드와 보안을 제공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자연어 번역을 통해 해외 환자와의 통역 및 채팅 번역이 가능하도록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
- 한편, 디지털 건강관리 사업을 전담할 헬스케어 사내독립기업(CIC)을 설립하며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와 스마트의료 등 헬스케어 서비스를 해외 시장에 선보일 방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
- 정책동향 [제269호 과학기술&ICT 동향] 미국, 생명공학 분야에서 중국의 혁신성 분석 보고서 발표 2024-09-06
- 정책동향 [제268호 과학기술&ICT 동향] 미국, 연구 보안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공개 등~ 2024-08-26
- 정책동향 [제267호 과학기술&ICT 동향] 유럽의회 선거에 따른 EU의 주요 정책 변화 가능성 검토 2024-08-05
- 정책동향 [제264호 과학기술&ICT 동향] 미국, 중국의 바이오데이터 수집 및 의료 AI 개발 현황 보고서 발표 2024-06-24
- 인프라동향 [제263호 과학기술&ICT 동향] 미국, 미래 인재를 위한 STEM 교육 방향성 제안 2024-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