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 등록일2022-05-04
- 조회수4428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22-04-08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나노기술#그린수소#탄소중립
- 첨부파일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목차
1. 개요
2. 수전해 그린수소 기술동향
3. 수전해 그린수소 산업동향
4. 정책동향
5. 시사점 및 정책 제언
◈본문
1. 작성 배경
■ 한국, 유럽연합, 중국, 일본, 미국 등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UN에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을 제출하고 탄소중립을 본격 추진
⇨ 195개 당사국에게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부여되었으며,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 감축 의무 부여
■ 전 세계는 현재 석유, 석탄 등 전통적 화석에너지 대신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 확대 방안 모색
⇨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050년까지 62%까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선진국들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확대 중
⇨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친환경적이고 무한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발전의 간헐성 및 계통안정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의 접목 필요
• 스마트그리드,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P2G(Power to Gas)를 활용한 HESS(Hydrogen
Energy Storage System) 등과의 접목 추진 중
■ 재생에너지의 보완재로 수소가 주목받고 있으며, 주요국에서도 수소경제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 수립
⇨ 美 (H₂@Scale(’19.3)), EU (EU 수소전략(’20.7)), 日 (수소기본전략(’17.12)) 등 전 세계 수소 경제시장 선점을 위한 종합전략 발표
■ 전 세계 수소 수요도 증가하여 2020년 10EJ 수준에서 2050년 78EJ까지 성장하여, 전 세계 에너지수요의 18%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 연료전지의 주요 활용처인 운송 및 전력 분야가 향후 수소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
■ 우리나라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19,1)’을 시작으로 수소경제 사회 실현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발표
⇨ ‘수소를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수소가 국가경제, 사회전반, 국민생활 등에 근본적 변화를 초래하여,
경제성장과 친환경 에너지의 원천이 되는 경제’로 수소경제 정의
⇨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 도약을 비전으로 하여, 2040년 수소차 및 연료전지 보급량, 수소공급량,
수소가격 목표(표 1)를 제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22년 8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
다음글
- 소재 신(新)연구방법론
관련정보
지식
동향
- 기술동향 일본 JST, ‘나노기술·재료분야 연구개발 부감 보고서(2024년) 발간 2024-12-18
- 제도동향 유럽연합 SCCS, '화장품 내 나노물질 안전성 평가에 대한 지침' 발간 2024-11-22
- 기술동향 DNA 기반 데이터 저장·계산 기술 개발 2024-10-23
- 기술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4년 7월호] OECD, '첨단재료:나노캐리어 사례 연구' 워크숍 보고서 발간 2024-08-19
- 제도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No.77] 미국 NNCI, '미래 나노기술 인프라에 대한 워크샵' 보고서 발간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