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22년 9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 등록일2022-05-20
  • 조회수3885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5-16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기술 동향워치#산업·기술
  • 첨부파일


[2022년 9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목차

이슈포커스


 일본의 소재산업 비전 중간정리안 공개 (日 경제산업성, 4.20)



산업⋅기술동향

 ’22년 하반기 반도체 부족 현상 완화 전망 (Counterpoint, 4.20)

 자동차 업계의 제조 발자국 재고 방향 (McKinsey, 4.19)

 탄소중립 핵심 기술로서의 직접공기포집 (IEA, 4.1)

 독일 산업의 가스 대체 잠재력 (獨 IW, 4.20)

 프랑스 그린테크 기업의 역동성 (佛 공공투자은행, 4.6)

 ’22년 중국 리튬배터리 산업 발전보고서 (Deloitte, 4月)

 중국의 6G R&D 4대 기술 과제 (中 경제참고보, 4.7)



정책동향

 AI가 국제 무역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OECD, 4.22)

 미국의 기후위기 대응 이니셔티브 (美 White House, 4.20)

 미국 상무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행정명령 발표 (美 DoC, 4.19)

 미·중 기술 탈동조화 전략과 정책 기조 (美 CEIP, 4.25)

 녹색 전환을 위한 EU 산업 탄소 배출 규제 현대화 (歐 EC, 4.5)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 유럽 그린딜과 경제안보 (日 유라시아연구소, 4.21)

 공급망 강화 등을 포함한 일본 경제안전보장추진법안 개요 (日 참의원, 4.14




◈본문


산업기술동향 워치 2022년 9호 요약


구분

주요 내용

페이지

이슈 포커스

∙ 일본의 소재산업 비전 중간정리안 공개 (日 경제산업성, 4.20)

철강비철금속화학 등 소재산업의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동시에 국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향성을 논의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

1

산업·

기술

동향

∙ ’22년 하반기 반도체 부족 현상 완화 전망 (Counterpoint, 4.20)

중국의 봉쇄조치 발동에도 불구하고 올해 하반기 글로벌 반도체 칩 부족 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예측

3

∙ 자동차 업계의 제조 발자국 재고 방향 (McKinsey, 4.19)

현재 자동차 공급업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동향을 바탕으로 차세대 제조 발자국

변경을 위한 핵심 단계를 도출

4

∙ 탄소중립 핵심 기술로서의 직접공기포집 (IEA, 4.1)

직접공기포집(DAC) 기술 보급을 증진하기 위한 기회와 과제주요 조치를 검토

5

∙ 독일 산업의 가스 대체 잠재력 (獨 IW, 4.20)

현재 논의되고 있는 러시아산 천연가스 금수 조치가 독일 산업에 미칠 영향을 점검

6

∙ 프랑스 그린테크 기업의 역동성 (佛 공공투자은행, 4.6)

프랑스 그린테크(Greentech) 기업에 대한 공공투자은행의 지원 현황을 소개하고 기업 역동성과 주요 이슈잠재력을 고찰

7

∙ ’22년 중국 리튬배터리 산업 발전보고서 (Deloitte, 4)

중국의 배터리 리튬 소재 가격 상승 추이와 고체 리튬배터리 발전 동향나트륨 이온

배터리 응용 방안완성차 제조 분야에서의 배터리 기술 발전방향 등을 분석

8

∙ 중국의 6G R&D 4대 기술 과제 (中 경제참고보, 4.7)

- 6G 시대 대비를 위한 기술 과제로 관련 네트워크 재구축 6G 통신망 기반 신규

애플리케이션 개발 탄소 배출정점 및 탄소 중립 목표 실현을 위한 저전력 기술 구현

기술 응용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 보안 역량 강화를 제시

9

정책

동향

∙ AI가 국제 무역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OECD, 4.22)

- AI 기술과 국제 무역 간의 상호 연관성을 탐구하고 향후 국제 무역에서 AI 시스템의

사용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주요 방안을 도출

10

∙ 미국의 기후위기 대응 이니셔티브 (美 White House, 4.20)

바이든 행정부가 비용절약형 청정에너지 자원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청정에너지 자원 흐름 활성화 취약 공동체 대상 청정에너지 제공 미래 청정에너지 인력 구축 부문 이니셔티브를 발표

11

∙ 미국 상무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행정명령 발표 (美 DoC, 4.19)

바이든 행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기조에 발맞춰 상무부의 정책·전략계획·프로그램에 기후

고려사항을 통합하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DAO 216-22)을 발표

12

∙ ·중 기술 탈동조화 전략과 정책 기조 (美 CEIP, 4.25)

미국의 이해관계가 걸린 기술적 탈동조화 비용·이점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명확한 정책

수립에 유용한 9가지 정책목표를 제안

13

∙ 녹색 전환을 위한 EU 산업 탄소 배출 규제 현대화 (歐 EC, 4.5)

- ’50년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현재 3만 개 이상의 대형 산업 플랜트 시설과 2만 개 이상의

집약형 가축 농장에 적용되고 있는 산업배출지침(IED)개정안을 발의

14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유럽 그린딜과 경제안보 (日 유라시아연구소, 4.21)

유럽 그린딜과 경제안보 관점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장기적 영향을 개관

15

∙ 공급망 강화 등을 포함한 일본 경제안전보장추진법안 개요 (日 참의원, 4.14)

공급망 강화 첨단 기술 민관 협력 촉진 등을 포함한 경제안전보장추진법안

개요와 주요 논점향후 과제를 정리

16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