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재생의학분야에서의 세포 치료제 활용
- 등록일2022-06-09
- 조회수460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05-27
-
출처
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재생의학#세포치료제#MSC
- 첨부파일
재생의학분야에서의 세포 치료제 활용
◈목차
1. 서문
2. 본문
2.1. MSC 의 치료적 응용(Therapeutic applications of MSC)
2.2. MSC 의 면역조절 효과(Immunomodulatory functions of MSC)
2.3. MSC 의 임상적 적용분야와 고려사항
2.4. 지방세포를 통한 MSC 의 기능 향상(Adipose-derived MSC)
2.5. 직접 셀-셀 접촉(Direct cell-to-cell contact)
2.6.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2.7. 혈관신생(Neovascularization)
2.8. 항산화 효과(Antioxidant effects)
2.9. COVID-19 치료를 위한 MSC 및 MSC 유래 EV 의 전망(Future prospects of MSC and MSC-derived EV in COVID-19 management)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
요약문
최근 수십 년 동안, 줄기 세포 (stem cells)의 치료적인 잠재력(therapeutic potential)에 대한 연구는 큰 진전이 있었다. 그 줄기 세포 중에서도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가 상당한 관심을 끌며 재생 의학 분야에서 매우 유망한 도구임이 입증되고 있다. MSC는 골수(bone marrow), 지방 조직(adipose tissue), 탯줄(umbilical cord) 등을 포함한 다양한 해부학적 부위에서 추출이 가능하다. MSC에 대한 분리, 배양 및 확장 기법의 발전은 여러 만성 난치성 질환에서 MSC의 본격적인 적용으로 이어지게 되었으며 특히 장기 이식 기술(organ transplantation)의 비약적인 발전에 맞물려 관련 분야 연구자들의 주목을 끌게 되었다. 조직 손상의 치료와 관련하여 MSC는 세포의 재생을 지원하는, 몇 가지 특별한 치료적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효과의 기초가 되는 프로세스에는 MSC의 이동성 및 면역 조절 기능이 포함된다. MSC의 최종 분화와 생물학적인 행동은 MSC를 둘러싸고 있는 미세 환경에 의해 조절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MSC가 가지는 조직 재생 능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동향리포트에서는 조직 복구 또는 재생 중 MSC의 특성과 역할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국소 미세환경(local microenvironment), 특히 면역학적 신호의 영향뿐만 아니라 이러한 치료적 효과의 근간을 이루는 메커니즘에 대해 간단히 소개할 예정이다. 중요한 것은 조직 손상 시 MSC와 국소 조절 인자와 면역세포의 상호 작용과 조절 과정에 대해 독자분들에게 설명드리고자 한다. 또한 이 치유 과정에서 EV (extracellular vesicles)의 역할을 포함하여 기타 분자 경로의 결정적인 역할 또한 조명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COVID-19 환자 치료 과정에서 MSC와 MSC에서 유래한 EV의 치료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전체적으로, 본 동향리포트는 새로운 면역 조절 전략의 일환으로, MSC 기반 치료법에 대한 독자분들의 개괄적인 이해를 돕는 것이 그 목적인 것이다.
Key Words: cell therapy, mesenchymal stem cells, extracellular vesicles, exosomes, microvesi- cles, ARDS, COVID-19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