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22년 10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 등록일2022-06-17
  • 조회수3664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6-03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Global Tech Korea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기술 동향워치#탈탄소화#탄소중립 정책
  • 첨부파일

 

 

[2022년 10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 목차


이슈포커스

 OECD 국가를 위한 산업정책 프레임워크 (OECD, 5.3)


산업‧기술동향

 WEF ’22 연차 총회 개최…글로벌 과제와 대응책 논의 (WEF, 5.22~26)

 농업기술·신식품 분야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 (Startup Genome, 4月)

 우크라이나 분쟁 관련 공급망 유지 방안 (KPMG, 4.22)

 주요국의 차세대 원자로 연구개발 동향 (日 전기사업연합회, 4.26)

 기후전환에 따른 기업의 미래 위협 가속화 (美 BNEF, 4.27)

 미래 에너지 허브로서 항구의 중요성 (WEF, 4.29)

 민간 기업의 우주산업 참여 기회 (日 일본정책금융공고, 5月)


정책동향

 분산에너지자원(DER)의 잠재력 실현 방안 (IEA, 5月)

 유럽 녹색수소 인증제도 개발 프로젝트 진행 현황 (歐 CHP, 5.3)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비철금속 확보 방안 (歐 Eurometaux, 4月)

 일본 AI 전략 2022 (日 내각부, 4.22)

 일본의 에너지 안보와 탈탄소화 대응 방향 (日 경제산업성, 4.14)

 수소·암모니아 상용 공급망 구축 논점과 기본 방향 (日 경제산업성, 4.27)

 ’50년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제언 (日 경단련, 4.26)

 

 

◈본문



산업기술동향 워치 2022년 10호 요약



 

구분

주요 내용

페이지

이슈 포커스

 OECD 국가를 위한 산업정책 프레임워크 (OECD, 5.3)

산업정책 형성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일관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1

산업·

기술

동향

 WEF ’22 연차 총회 개최글로벌 과제와 대응책 논의 (WEF, 5.22~26)

- ‘전환점에 선 역사정부 정책 및 비즈니스 전략이라는 주제 아래 6대 우선순위 분야를 선정하고 미래 비전을 공유

3

∙ 농업기술·신식품 분야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 (Startup Genome, 4)

농업기술·신식품 분야의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주요 트렌드엑셀러레이터와 벤처투자(VC) 업체 현황 등을 정리

4

 우크라이나 분쟁 관련 공급망 유지 방안 (KPMG, 4.22)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공급 문제를 분석하고 업의 공급망 복원력과 민첩성(agility) 구축을 뒷받침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

5

∙ 주요국의 차세대 원자로 연구개발 동향 (日 전기사업연합회, 4.26)

요국은 석탄화력발전 비율 저감안정된 저탄소 전원 확보를 위해 원자력 발전 도입을 계획하거나 대형 원자로 신설을 추진하고 있으며원자력의 다목적 이용 및 국제 경쟁력 확보 등의 관점에서 소형화를 통해 사고 발생 위험을 낮추는 SMR·AMR 실증을 진행 중

6

∙ 기후전환에 따른 기업의 미래 위협 가속화 (美 BNEF, 4.27)

기후전환 리스크가 기업의 다양한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넷제로 가속화가 새로운 전략 및 투자 계획을 추동하는 상황에서기업이 리스크에 대응하고 향후 최적의 기후 적응 방안을 계획할 수 있는 결정적 시점이 도래했다고 분석

7

 미래 에너지 허브로서 항구의 중요성 (WEF, 4.29)

미래 에너지 허브 항구로서 벨기에 앤트워프-브뤼헤항(Port of Antwerp-Bruges)

사례를 소개

8

 민간 기업의 우주산업 참여 기회 (日 일본정책금융공고, 5)

우주산업은 로켓인공위성 제조우주여행 등 범위가 광대하며중소기업의 참여가 확대되는 추세

9

정책

동향

∙ 분산에너지자원(DER)의 잠재력 실현 방안 (IEA, 5)

분산에너지자원(DER) 기술의 기회와 과제를 점검하고, DER의 잠재력을 활용하기 위한 전력 시장 및 규제 전환 방향을 도출

10

 유럽 녹색수소 인증제도 개발 프로젝트 진행 현황 (歐 CHP, 5.3)

- EU는 생산인증(Guarantee of Origin) 메커니즘(RED2* art. 19)과 非 바이오 기반 재생가능 원료사용에 관한 RED2 준수인증의 2가지 인증 시스템 개발을 추진 중

11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비철금속 확보 방안 (歐 Eurometaux, 4)

전이금속 재활용으로 청정에너지 시스템의 전략적 자율성을 개선하고 화석연료 의존성을 탈피할 수 있는 5단계 전략을 도출

12

 일본 AI 전략 2022 (日 내각부, 4.22)

인간 존중다양성지속가능성의 3대 이념 아래소사이어티 5.0 실현을 통한 글로벌/일본의 사회 과제 극복과 산업 경쟁력 향상을 도모

13

 일본의 에너지 안보와 탈탄소화 대응 방향 (日 경제산업성, 4.14)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에너지 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일본의 전력수급 동향을

살펴보고 정책 대응 방향을 논의

14

 수소·암모니아 상용 공급망 구축 논점과 기본 방향 (日 경제산업성, 4.27)

수소·암모니아의 상용 공급망 구축과 관련해 정책적 위상·역할 지원 대상 지원

방법 리스크 공급 비용 절감 타 정책과의 관계 개시 시기 등에 대한 향후 기본

방향()을 도출

15

∙ ’50년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제언 (日 경단련, 4.26)

- ’50년 일본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정부의 녹색전환(GX) 정책 패키지 추진을 촉구

16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