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22년 11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 등록일2022-07-01
  • 조회수3229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6-17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Global Tech Korea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기술 동향워치#공급망#탄소중립
  • 첨부파일

 

 

[2022년 11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 목차

이슈포커스

유럽 공급망 붕괴 현황과 재구성 방안 (Accenture, 5.23)


산업 ‧ 기술동향

’22~’29년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 연구보고서 (中 Maia Research, 5.10)

’22년 글로벌 전기차 전망 (IEA, 5月)

순환경제 구축을 통한 건설 부문 비즈니스 기회 창출 (WEF, 5.24)

러-우 전쟁에 따른 방산 스타트업 투자 가속화 (日 JCER, 5.19)

우주 경제의 잠재력 실현 방안 고찰 (McKinsey, 5.19)

디지털화·메타버스에 기반한 소매업계의 혁신 방향 (WEF, 5.25)

G7 회원국의 중공업 부문 탄소중립 달성 방안 고찰 (IEA, 5月)

기술 지역화로 인한 ‘스플린터넷’ 발생 가능성 (英 EIU, 5.18)

대만 반도체 산업정책 및 주요 기업의 공급망 현황 (日 JETRO, 5月)


정책동향

러-우 전쟁이 넷제로 전환에 미치는 영향 (McKinsey, 5.19)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출범 (美 White House, 5.23)

유럽 녹색에너지 공급망 안보 정책 제언 (歐 ECFR, 5.11)

14차 5개년 바이오경제 발전 규획 (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5.10)

중국 공급망의 대안으로 부상하는 주요 신흥시장 분석 (美 CSIS, 5.17)

 

 

◈본문



산업기술동향 워치 2022년 11호 요약


구분

주요 내용

페이지

이슈 포커스

∙ 유럽 공급망 붕괴 현황과 재구성 방안 (Accenture, 5.23)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우 전쟁 발발로 인한 유럽의 공급망 피해 현황을 진단하고 회복 추정 기간과 공급망 재창조 방안을 고찰

1

산업·

기술

동향

∙ ’22~’29년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 연구보고서 (中 Maia Research, 5.10)

글로벌 협동로봇(Cobot) 시장규모와 유형·지역별 발전 현황주요 제조기업산업 사슬 등을 분석

3

∙ ’22년 글로벌 전기차 전망 (IEA, 5)

전기차·충전 인프라 구축에너지 사용, CO2 배출배터리 수요 및 관련 정책 개발 등의 주요 분야를 검토하고 전기차 보급을 가속화 하기 위한 권고사항을 도출

4

∙ 순환경제 구축을 통한 건설 부문 비즈니스 기회 창출 (WEF, 5.24)

순환경제가 건설 부문에 제공하는 비즈니스 기회와 주요 도시·기업의 순환성 제고 방안을 고찰

5

∙ -우 전쟁에 따른 방산 스타트업 투자 가속화 (日 JCER, 5.19)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인해 급증하고 있는 방산(防産스타트업 투자 동향을 분석

6

∙ 우주 경제의 잠재력 실현 방안 고찰 (McKinsey, 5.19)

글로벌 우주 경제의 잠재력 극대화를 위해 추진해야 할 주요 조치를 확인

7

∙ 디지털화·메타버스에 기반한 소매업계의 혁신 방향 (WEF, 5.25)

디지털화와 메타버스를 통한 소매업계의 혁신 양상을 점검하고 향후 소매업계가 추구해야 할 방향성을 고찰

8

∙ G7 회원국의 중공업 부문 탄소중립 달성 방안 고찰 (IEA, 5)

중공업 부문의 넷제로 달성과 관련한 핵심 영역을 점검하고 CO2 저감 정책 개발을 위한 권장 사항을 제언

9

∙ 기술 지역화로 인한 스플린터넷’ 발생 가능성 (英 EIU, 5.18)

스플린터넷(Splinternet) 발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기술 지역화 단계를 고찰하고 주요 사례를 제시

10

∙ 대만 반도체 산업정책 및 주요 기업의 공급망 현황 (日 JETRO, 5)

대만 정부의 반도체 산업 정책주요 기업의 대외 비즈니스 전략반도체 산업의 제약 요인과 대응 방안 등을 조사

11

정책

동향

∙ -우 전쟁이 넷제로 전환에 미치는 영향 (McKinsey, 5.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글로벌 넷제로 추진 방향에 미칠 영향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정부·기업·금융 부문의 주요 이해관계자가 넷제로 전환을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를 제언

12

∙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출범 (美 White House, 5.23)

미국 주도의 다자간 경제협력체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공식 출범

13

∙ 유럽 녹색에너지 공급망 안보 정책 제언 (歐 ECFR, 5.11)

역내 녹색에너지 전환 핵심 기술과 공급망의 중국 의존 문제를 고찰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언

14

∙ 14차 5개년 바이오경제 발전 규획 (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5.10)

중국 의료보건·식품 소비·친환경 저탄소·바이오 안보 등 국민 생활 니즈와 바이오경제 발전 목표에 맞춰 핵심 분야와 추진 과제를 명시

15

∙ 중국 공급망의 대안으로 부상하는 주요 신흥시장 분석 (美 CSIS, 5.17)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3대 신흥 경제국의 경제 안보 정책을 검토하고복원력 있는 공급망 확보 정책을 제언

16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