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나노기술연감 2021
- 등록일2022-07-20
- 조회수4048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22-07-06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기술
나노기술연감 2021
◈ 목차
제1장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동향
제1절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제2절 반도체 연구개발 기반(인프라) 확충
제3절 2021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제4절 2021년 주요 나노기술 R&D 사업 추진 현황
제2장 국외 나노기술 정책 동향
제1절 미국
제2절 일본
제3절 중국
제4절 EU
제5절 독일
참고문헌
제3장 나노기술 연구개발 투자 및 성과
제1절 나노기술 연구개발 투자 및 성과
제2절 나노기술 연구개발 성과 분석
제4장 나노산업 현황
제1절 일반 현황
제2절 나노융합기업 현황
제3절 국내 나노융합제품 현황
제5장 나노인프라 현황
제1절 나노팹 현황
제2절 나노특화시설 현황
제3절 국내 나노 관련 지원 기관
제6장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
제1절 나노전문인력 현황
제2절 나노분야 교육·훈련
제7장 나노안정성 및 표준화
제1절 나노안정성
제2절 나노표준화
참고 자료
제8장 나노 관련 행사·활동
제1절 나노코리아2021
제2절 나노피아2021
제3절 2021나노융합성과전
제4절 2021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2021.12.22.~24)
제5절 NCC2021
제6절 Nature Conference
제7절 Nano Convergence 저널발간
제9장 국제 협력 활동
제1절 OECD BNCT 활동
제2절 Asia Nano Forum(ANF)
제10장 국민 이해 및 지식 확산
제1절 퍼블릭 프로그램 운영(나노코리아 2021)
제2절 나노영챌린지2021(아이디어공모전) 개최
제3절 2021년 10대 나노기술 선정 및 홍보
제4절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제5절 Youtube 활용 나노기술 홍보(과학쿠키)
◈본문
제1장 우리나라 나노기술정책 동향
제1절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1. 배경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은 대한민국 나노기술 분야의 최상위 계획으로서, 그간 20년의 투자를 통해 국가나노기술의 성장을 견인하여 세계 4위 수준(미국 대비 85.7%)를 도달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의 경과를 살펴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 협력 사업인 나노융합2020사업(`12~`20)을 통해 기술사업화 매출 6,853억 원을 달성하고,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를 수립(`18)하고, 과기부-산업부 간 이어달리기 연구개발(R&D)를 통해 성과 확산 체계를 마련하는 등 연구개발(R&D) 및 사업화 관점의 성과들이 있었다. 또한 나노안전 평가기술 표준화 및 국제협력 확대로, 7종 인증표준물질 개발 및 보급 등 나노안전 평가기술을 표준화하고, NANoREG(나노안전 제도화 기반 구축), EU Horizon 2020 등 국제협력 연구 확대 등 기반 강화를 위한 성과들이 있었다. 그러나 7대 전략 분야 산업화 촉진 및 그래핀 사업화, 팹 데이터 축적·관리 기술 등을 활용한 팹공정 스마트화 및 이용자 중심의 일원화된 나노기술 정보제공 체계 구축·운영은 미흡하였다.
현재 글로벌 팬데믹,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공급망 재편,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 등 대내외적으로 해결해야 할 이슈들이 존재한다. 나노기술은 타 기술 및 산업과의 융합으로 파급력이 큰 범용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이기에, 금번 제 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은 양적으로 축적된 나노기술 역량을 질적 도약의 계기로 삼는 동시에 기초 원천성과에 대한 산업화 촉진을 위해 팹인프라, 인력, 안전 등 기반의 고도화도 동시 추진하여 글로벌 미래사회를 선도하고자 한다.
2. 추진경과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는 5기 계획 수립에 앞서, 지난 성과를 돌아보고자 2020년 1월부터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성과분석과 해외 나노기술정책 동향 분석을 추진하였다. 2020년 6월에 10개 부처와 주요 전문가로 구성된 '관계부처 추진위원회'와 '기획위원회'를 구성하고 제5기 계획수립에 착수하였다. 기획위원회는 총괄팀과 관련 분과 등 7개로 구성하고, 100명 이상의 나노기술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여 수립하였다. 2020년 12월까지 총괄 워크숍, 분과 회의 등 50여 회 이상을 개최하여 계획안을 마련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형식의 공청회를 통해 의견 수렴을 실시하였다. 10여 개 부처의 의견 수렴을 거친 뒤, 2014년 4월에 국가과학심의회 본회의에 상정하여 계획안을 의결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NGS를 활용한 새로운 분석 방법 및 활용 사례
-
다음글
- 양자정보기술
지식
동향
- 기술동향 일본 JST, ‘나노기술·재료분야 연구개발 부감 보고서(2024년) 발간 2024-12-18
- 제도동향 유럽연합 SCCS, '화장품 내 나노물질 안전성 평가에 대한 지침' 발간 2024-11-22
- 기술동향 DNA 기반 데이터 저장·계산 기술 개발 2024-10-23
- 기술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4년 7월호] OECD, '첨단재료:나노캐리어 사례 연구' 워크숍 보고서 발간 2024-08-19
- 제도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No.77] 미국 NNCI, '미래 나노기술 인프라에 대한 워크샵' 보고서 발간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