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바이오베터 기술개발 동향 -(2) ADC(Antibody-Drug Conjugates) 개발 동향

  • 등록일2022-08-02
  • 조회수6076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07-25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베터#ADC
  • 첨부파일

 

 

바이오베터 기술개발 동향 -(2) ADC(Antibody-Drug Conjugates) 개발 동향

 

◈ 목차

1. 개요

2. ADC 구조

(1) 항체 및 표적항원 선택

(2) 링커

(3) 페이로드

3. ADC 메커니즘

4. FDA 승인된 ADC 현황

5. 국외 ADC 개발 현황

6. 국내 ADC 개발 현황

7. 국내 기업이 나아갈 방향

 

 

◈본문


1. 개요


암의 치료에는 면역항암제가 많이 쓰이고 있지만 아직도 전통적인 화학요법제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화학요법 항암제는 주로 일반세포와 암세포를 구분하기 위해 세포주기의 차이를 이용하며 치료효과를 얻기 위해 최대 허용량(maximum tolerated dose) 근처에서 사용하게 된다. 화학요법은 암세포가 표적이지만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특이적 구분 없이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를 죽여 전신독성과 세포독성을 피하기 어렵다. 치료용 단일클론 항체는 종양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세포살상효과를 일으킨다. 종양 세포에만 결합하므로 비특이적인 독성을 줄여주는 장점을 갖지만 종양 특이 항체 중 소수의 항체만 암 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어 제한적이며 항체만으로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이지 못한다. 강력한 살상능력을 가진 화학요법제와 암세포에만을 표적으로 하는 특이성을 가진 항체를 결합시킬 경우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어 항체-약물 복합체가 탄생하게 되었다.


항체-약물 복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s)는 바이오베터를 만들기 위해 사용가능한 플랫폼 기술 중 하나로 단일클론 항체의 선택성을 화학요법의 세포사멸 특성과 결합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종류의 항암제이며 종양학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약물 분야 중 하나이다. ADC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암 발병률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Cancer Research UK는 2040년까지 매년 2,750만 건의 새로운 암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ADC에 대한 연구개발 활동 증가, 새로 개발된 다양한 ADC에 대한 규제승인 증가, 새로운 표적치료제 개발 등이 이 부문의 성장을 이끄는 핵심요소이다. 글로벌 ADC 시장은 '22년 약 59억 달러에서 '26년 약 130억 달러로 22%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ADC 시장

2. ADC 구조5,6


ADC가 개발된 이래로 설계하고 구축하는 기본적인 접근방식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모든 ADC는 종양관련 항원을 결합하는 항체, 연결링커 및 세포독성 페이로드의 세가지 핵심요소를 가지고 있다.


ADC 약물의 구조 및 특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