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디지털 전환 대응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 등록일2022-08-10
- 조회수3567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8-01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 전환#디지털 큐레이션
- 첨부파일
디지털 전환 대응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 목차
1. 들어가며
· 정보와 데이터 환경 변화
· 정보와 데이터 환경 변화에 따른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2.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 프레임워크
· 디지털 큐레이션 업무의 디지털 전환 방향
·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디지털 큐레이션 실행 관리 도구
· 디지털 큐레이션 성숙도 모델: 디지털 전환 수준 측정 관리 도구
3. 디지털 큐레이션 자동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 기술
· 디지털 전환과 프로세스 자동화
· AI를 활용한 자동화 기술 동향
· 큐레이션 자동화를 위한 AI 기술
4. 디지털 큐레이션 업무의 디지털 전환 제언
◈본문
1. 들어가며
▷▶ 정보와 데이터 환경 변화
● (오픈사이언스 연구 패러다임 확산) 최근 연구성과의 확산을 위한 성과 공동활용 및 정보공유가 보편화되었으며, 특히 COVID-19 이후 글로벌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협력과 공유가 증가하고 있음.
- (오픈사이언스) 오픈사이언스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연구의 성과와 과정을 공개해 나가는 일련의 활동을 총칭하며, 성과 공개의 대상과 방식이 확장되면서 보다 개방적인 연구 활동을 일컫는 용어로 재개념화됨(신은정 외, 2018).
- (자유로운 접근) 2021년 11월 “모두를 위한 과학지식 개방과 공유”를 목표로 유네스코 제41차 총회에서 “오픈사이언스에 대한 권고안”이 만장일치로 합의되어 과학지식과 데이터, 자료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개방적 정보 공유와 협력을 가능케 하는 실천 기반이 마련됨.
● (연구환경의 디지털 전환)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기술연구환경이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환경은 네트워크화, 자동화, 융합화 등 거대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음.
- 데이터 기반의 4세대 R&D 패러다임은 거대과학과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성과 개방성을 고도로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세계적 협력, 타 영역 간 융복합 등을 통해 사회적 혹은 경제적 이슈를 해결하고자 함(KISTI, 2020).
- 다양한 디지털 기술 발전과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로 연구성과 및 자료의 개방, 공유가 용이해지고 있으며, 온라인 채널을 통한 연구자들 간의 협업이 가속화되고 있음.
● (데이터 기반 지능형 기술 발전)기하급수적 데이터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정보/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하고, 촉진시키기 위하여 AI 등과 같은 지능형 기술은 핵심 영역임.
- (AI) 2016년 알파고 바둑대결 이후 본격화된 인공지능은 전 산업에 걸쳐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데이터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을 필두로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고 지식화하는 등 핵심기술로 자리매김함.
- (기술 간 조합) AI를 기반으로 타 분야 간 기술 결합 및 활용을 통해 기술, 산업, 서비스 경계가 없는 ICT 융합 혁신이 일어나고 있음
▷▶ 정보와 데이터 환경 변화에 따른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 (디지털 큐레이션)디지털 큐레이션은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관리, 보존하고, 가치를 부여하여 현재와 미래에 이용, 재이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활동(이혜림, 2020)으로 데이터 수집-관리-보존-이용의 데이터 라이프사이클 단계에 따라 필요한 과정, 활동, 관계 등을 포함함.
- 디지털 큐레이션 전문연구기관인 영국의 DCC(Digital Curation Center)는 디지털 큐레이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제시함. 1) 적극적 데이터 관리로 가치 있는 연구결과 보존, 2) 데이터 중복으로 인한 관리/활용 노력 절감, 3)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촉진하여 데이터 가치 향상.
- 정보/데이터 환경 변화로 데이터는 국가 경제 및 과학기술 경쟁력의 핵심 자산으로 대두되었으며,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데이터 집약형(data-intensive) 연구 패러다임으로 변화되면서 데이터 관리의 혁신, 데이터의 가치 향상 및 활용성 강화 등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음.
●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이에 데이터 기반의 연구 패러다임 확산과 데이터 공유/확산 문화에 적합한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이 필요하며, 본고에서는 KISTI 사례를 중심으로 데이터 라이프사이클의 전사적 측면, 구축/가공의 측면으로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을 제시함. 또한 이러한 디지털 큐레이션 체제의 대상은 정보뿐 아니라 데이터 셋까지 포함될 필요가 있음.
- (인간-인공지능 협업) 데이터 구축/가공 측면에서는 인간과 인공지능 협업 구조 구성이 필요함. AI 기술 개발은 반복 작업 자동화에 집중하고 알고리즘 한계 및 편향 오류를 보완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사람이 개입함으로써, 반복적 큐레이션 작업과 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디지털 큐레이션 성숙도 모델) 디지털 큐레이션 체제의 디지털 성숙 정도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직관적 모델과 지표가 필요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