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유전자변형식물의 유전자 이동 가능성에 대한 고찰

  • 등록일2022-08-17
  • 조회수3902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2-08-08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변형식물#LMO
  • 첨부파일
    • pdf (2022-12)유전자변형식물의 유전자 이동 가능성에 대한 고찰(국립... (다운로드 17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유전자변형식물의 유전자 이동 가능성에 대한 고찰


 

◈ 목차

1. 검토 배경

2. 주요 검토 내용

3. 주요 검토 결과

4. 시사점

 

 

◈본문



1. 검토 배경


□ 유전자 이동의 생태학적 기능

 ㅇ 생태학적으로 유전자 이동(gene flow)은 한 개체군에서 다른 개체군으로 유전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개체군 내 유전적 다양성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함

 ㅇ 종(species) 간 유전적 이동은 1) 수평적 유전자 이동(horizontal gene transfer) 2) 수직적 유전자 이동(vertical gene transfer)으로 나뉨

  1) 수평적 유전자 이동: 유연관계가 먼 생물로의 이동이 가능하며, 식물에서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로의 유전자 이동을 포함

  2) 수직적 유전자 이동: 보통 근연관계에 있는 종에서 발생하며, 두 종의 교배로 발생


□ 생물다양성 보전 관점에서의 LMO 유전자 이동

 ㅇ 생물다양성(biological diversity; biodiversity)은 생물다양성협약에서 "육·해상 및 그 밖의 수중생태계와 이들 생태계가 부분을 이루는 복합생태계 등 모든 분야의 생물체 간의 변이성을 말하며, 이는 종 내 다양성, 종 간 다양성 및 생태계 다양성을 포함한다” 라고 정의하며, 종(species), 생태계(ecosystem), 유전자(gene) 다양성을 포함한 개념임


<그림 1> 생물다양성 구성 요소

<그림 1> 생물다양성 구성 요소

*출처: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 체계, https://www.kbr.go.kr/


 ㅇ 현대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유전자변형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 LMO)는 유연관계가 가까운 종 이외에 유연관계가 없는 종의 유전자도 도입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급격한 유전자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자연생태계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음

 ㅇ LMO는 종, 생태계, 유전자 수준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생물다양성의 정의를 고려할 때 생물과 생태계가 받는 영향은 대부분 생물다양성 감소로 간주할 수 있음

  - 생물다양성협약 내 카르타헤나의정서를 통해 LMO가 생태계에 주는 영향을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음

 ㅇ LMO의 유전자 이동은 1) 같은 종으로의 유전자 이동 2) 근연종으로의 유전자 이동 3) 유연관계가 먼 생물로의 수평적 유전자 이동이 있으며, 유전자 이동 가능성은 같은 종, 근연종, 수평적 유전자 이동 순임



2. 주요 검토 내용


□ 국내 LMO 유출 현황

 ㅇ 축제지 내 미승인 LM 카놀라 식재

  - 2017년 강원도 태백시 축제지에서 종자용 미승인 LM 카놀라(GT73) 식재가 처음 발견되어 농림축산식품부가 민관합동조사를 진행

  - 그 결과 전국 98개소 중 88개소는 관리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10개소는 추가 사후관리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

 ㅇ 종자용 미승인 LM 면화 식재

  - 2017년 목포시 고하도에서 종자용 미승인 LM 면화(MON531)의 식재가 환경부 모니터링 조사에서 발견되었으며, 농림축산식품부는 식재된 면화를 소각·폐기 조치함

 ㅇ 자연생태계 내 LMO 유출

  -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2009년부터 자연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난 13년간(2009~2021) 8,521 지역을 조사한 결과 301 지역에서 797개 LMO 발견

  - 자연생태계 내 LMO 발견 개체 수는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며, LM 옥수수는 2009년부터, LM 면화는 2012년을 제외한 매년, LM 카놀라는 2015년부터 매년 발견되고 있음

  - 특히 LM 카놀라의 국내 근연종인 십자화과 식물이 전국 자연환경 내 광범위하게 자생하고 있어 LMO 유전자 이동이 우려됨


<그림 2> 국립생태원 모니터링 결과(2009년 ~ 2021년)

<그림 2> 국립생태원 모니터링 결과(2009년 ~ 2021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