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복제가능 레트로바이러스 평가 가이드라인
- 등록일2022-09-28
- 조회수350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09-23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레트로바이러스
- 첨부파일
복제가능 레트로바이러스 평가 가이드라인
◈ 목차
1. 서론
2. 시험에 대한 권장사항
2.1. 시험용 물질
2.1.1. 벡터생산세포 마스터세포은행(VPC MCB)
2.1.2. 벡터생산세포 제조용세포은행(VPC WCB)
2.1.3.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상층액과 생산종결세포
2.1.4. 레트로바이러스 형질도입 세포
2.2. 검체량
2.2.1. 세포 시험
2.2.2. 상층액 시험
2.3. 분석방법
3. 환자 모니터링을 위한 권장 사항
3.1. RCR 시험 일정
3.2. 권장하는 분석시험
4. RCR 시험 결과의 문서화
5. 허가 후 고려사항
6. 참고문헌
붙임 1. RCR 검출을 위한 시험 부피 권장량 계산
붙임 2. 상대 민감도 결정
붙임 3. 반복시험 검체의 수와 부피를 결정하는 수식
◈본문
1. 서론
복제가능 레트로바이러스(RCR, replication competent retrovirus)의 잠재적 병원성으로 인해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기반 유전자치료제에서 철저한 시험을 통해 RCR이 없음을 확인해야 한다(1). 이 가이드라인은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기반 유전자치료제 제조 시 및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기반 유전자치료제로 치료를 받은 환자의 추적조사 모니터링 시 RCR 시험에 대해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 또한 본 권장 사항은 레트로바이러스 벡터-기반 유전자치료제의 투여 후 레트로바이러스 감염 증거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공된다.
Retroviridae과(family)는 두 개의 아과(subfamily)로 구성된다. Alpharetrovirus, Betaretrovirus, Gammaretrovirus, Deltaretrovirus, Epsilonretrovirus 및 Lentivirus 6개의 바이러스 속(genera)으로 구성된 Orthoretrovirinae (아과)와 Bovispumavirus, Equispumavirus, Felispumavirus, Prosimiispumavirus 및 Simiispumavirus 5개의 바이러스 속으로 구성된 Spumaretrovirinae (foamy viruses) (아과)이다(2, 3). RCR은 이들 모든 바이러스 속으로부터 레트로바이러스를 제조하는 경우 잠재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2. 시험에 대한 권장 사항
2.1. 시험용 물질
일반적으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는 벡터 생산세포에 일시적(transient) 또는 안정적(stable)으로 벡터를 도입하고 배양한 후, 상층액(supernatant)을 수집하여 제조한다. RCR은 초기 형질주입(transfection) 또는 형질도입(transduction)에서부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상층액 생산까지, 벡터 제조 시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가 세포의 ex vivo 유전자 변형을 위해 사용된 경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상층액에서는 검출한계 미만이었던 RCR이 ex vivo 형질도입 세포의 증식 배양 동안 증폭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권고사항은 제품 제조의 여러 단계에서 사용되는 원료에 대한 시험을 포함한다(표-1).
벡터가 일시적인 형질주입에 의해 생산될 때 모든 세포은행을 적격성 평가해야 하며, 이때 「생물의약품 생산에 사용되는 세포기질 관리 가이드라인(식약처, 2010)」을 참고할 수 있다. 본 가이드라인에는 벡터 상층액, 생산종결세포 및 세포기반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RCR 특이적 시험이 요약되어 있다.
적절하고 일관적인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공급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안정적으로 형질주입된(stably-transfected) 벡터생산세포(VPC, Vector Producer Cell) 은행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 단일 세포 클론으로부터 유래된 단일한 구성의 세포로 마스
터세포은행(MCB, Master Cell Bank)을 구축한다. 제조용세포은행(WCB, Working Cell Bank)은 MCB로부터 유래하며, 특정 계대수까지 순차적 계대배양에 의해 증식된다. VPC 은행을 이용하여 벡터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벡터 상층액, 생산종결세포 및 ex vivo 형질도입 세포 뿐만 아니라 VPC MCB에서도 RCR에 특이적인 시험이 권장된다.
2.1.1. 벡터생산세포 마스터세포은행(VPC MCB)
벡터 생성에 사용된 바이러스의 친화성(tropism)을 참고로 세포주를 선택하여 VPC MCB로부터 얻은 세포와 상층액 모두 RCR에 대해 시험해야 한다. 예를 들어 gibbon ape leukemia virus (GALV) 외피 또는 vesicular stomatitis virus glycoprotein(VSV-G) 외피를 함유하는 VPC는 일반적으로 사람 세포주에서 시험한다. 다른 레트로바이러스 외피들은 관련된 RCR의 감염을 허용하는 세포주에서 시험해야 한다. 임상용 벡터와 다른 외피를 가지는 위형(pseudotyped)의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예를 들어 동종지향성(ecotropic) Murine Leukemia Virus (MLV)를 이용하여 VPC MCB가 생산되는 경우에는 다른 외피를 가지는 RCR이 도입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동종지향성 MLV RCR은 사람에 대해 직접적 위험이 적을 수 있다. 그러나 동종지향성 MLV RCR은 VPC 내의 요소를 이용한 재조합을 통해 사람에 감염성이 있는 RCR이 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종지향성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형질도입에 의해 VPC가 생산된 경우 양쪽지향성(amphotropic) RCR 시험에 추가로 동종지향성 RCR 시험을 수행할 것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동종지향성 MLV 외피를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VPC는 동종지향성 MLV-like RCR에 의한 감염을 허용하는 적절한 세포주에서 RCR 시험을 하여야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