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생명과학 분야에서 빅데이터의 영향과 향후 방향

  • 등록일2022-10-12
  • 조회수5188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22-09-20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빅데이터
  • 첨부파일

 

 

생명과학 분야에서 빅데이터의 영향과 향후 방향


 

◈ 목차


(1) 개요

(2) 빅데이터란
(3) 빅데이터에 의한 생명과학 연구의 발전
(4) 빅데이터에 활용된 기술
(5) 빅데이터 기술 활용 및 연구 현황
(6) 향후 방향

  

◈본문


■ 개요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에 연결된 많은 장치가 정보를 추적하고 생성 및 저장함에 따라 매일 2,500조 바이트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그 수는 인터넷 액세스 및 사용이 개선되고 전 세계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Markets and Markets에서 발간

한 "Global Forecast to 2026"에 따르면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21년 1,626억 달러에서 '26년 2,734억 달러로 약 11%의 증가율을 보이며 성장할 것이다. 생명공학 분야는 기술혁 신으로 인해 다양한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점점 더 가능해짐에 따라 의료산업에 침

투하고 있는 빅데이터 분야의 최전선에 있으며 데이터는 생명공학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중 요한 영역 중 하나가 되었다.

■ 빅데이터란


‘빅데이터’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소프트웨어나 인터넷 기반 플랫폼으로는 관리할 수 없는 대용량 데이터를 의미한다. 빅데이터에 대한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널리 사용되는 정의는 Doug Laney가 정의한 3V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포함

하는 용량(Volume),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속도(Velocity),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다양성(Variety)이 그것이다.


역사적으로 빅데이터의 진화는 개인·직장생활의 모든 측면을 현저하게 변화시켰다. 현대시대에 빅데이터의 탄생은 1663년 런던 전염병 동안 John Graunt의 데이터 분석에 대한 최초의 보고서 중 일부에 기인한다. 여러 하드웨어 처리 및 저장 장치의 혁신과 발명이 생성된 데

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길을 열어 주었다. 그 후 컴퓨터 언어의 등장과 함께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은 정보기술과 빅 테크 분야의 세계적인 발전에 기여하였다.


■ 빅데이터에 의한 생명과학 연구의 발전


현재 하루에 생성되는 연구 데이터의 양은 이전에 10년 동안 생성된 양과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특히 헬스케어 산업은 빅데이터의 도래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다양한 조직에서 분석 도구, 인공 지능(AI) 및 머신러닝(ML)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기반 통찰력을 도출하여

의료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흐름을 개선하고 개인화된 의학을 개발하며 사전 예방적으로 환자 진료를 관리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