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바닷속 나노플라스틱, 해양 먹이사슬로 식자원까지 전이 가능
- 등록일2022-10-17
- 조회수3113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22-10-04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플라스틱
- 첨부파일
바닷속 나노플라스틱, 해양 먹이사슬로 식자원까지 전이 가능
간접 노출된 나노플라스틱에 의한 소화효소 활성 저해 정량화
◈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내용
(3) 연구성과/기대효과
(4) 그림 설명
◈본문
1. 연구의 필요성
○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5 mm 미만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오염농도가 누적되는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과 축적 및 사람의 건강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 환경중의 미세·나노플라스틱이 영양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포식자 생물에게 전이되는 사실은 알려졌으나, 이에 따른 상위포식자 생물의 영향을 평가한 것은 매우 제한적으로 보고되어왔다. 특히, 생선류는 해양생물 중 상위포식자에 속하며 사람이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는 식자원으로 소비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식자원으로서 소비율이 높은 어종에 대한 영향을 파악한 연구가 거의 보고된 바 없다.
2. 연구내용
○ 국내·외 서식하는 해양생물 3종 (Dunaliella salina 미세조류, Artemia franciscana 소형갑각류, Larimichthys polyactis 참조기)를 대상시험종으로 선정하였으며, 190 nm의 구형 폴리스티렌 나노플라스틱을 모델 나노플라스틱으로 선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조류를 알테미아에 먹이로 제공한 뒤, 이를 섭취한 소형갑각류를 참조기에 최종 먹이로 제공하여 나노플라스틱을 간접적으로 섭취한 해양생물에게 나타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 특히, 나노플라스틱이 3단계에 걸쳐 최종포식자인 참조기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생물체의 대표적인 소화효소인 알파 아밀라아제를 분석하였다.
○ 결과적으로, 나노플라스틱은 미세조류, 소형갑각류, 참조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미세조류가 나노플라스틱에 오염된 이후 소형갑각류가 이를 섭취할 경우, 장관벽이 손상되었으며, 이는 나노플라스틱이 타 해양생물에 간접적으로 노출될 때에 그 영향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참조기는 나노플라스틱에 간접적으로 노출된 후와 24시간 뒤에도 소화관 내에서 나노플라스틱이 관찰되었으며, 완전히 배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화효소의 활성이 39%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