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 등록일2022-10-18
- 조회수3629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2-10-06
-
출처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원문링크
-
키워드
#합성생물학
- 첨부파일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 목차
⑴ 언론 모니터링
⑵ 주요 정보/지식
◈본문
■ 언론 모니터링
○ 미국, 1조 달러 미국 바이오경제 성장 전략 발표
▶美 바이든 행정부의 ‘국가 바이오기술·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 발동(’22.9.12)
- (주요내용) 미국 내 바이오제조 역량 강화, 바이오 기반 제품의 시장 확대, 큰 도전과제에 대한 연구개발 확대, 양질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성 향상, 다양한 숙련된 인력 양성, 바이오제품 규제 간소화, 미국 바이오기술 생태계 보호 등
- 바이오 제조 역할 확대 및 팬데믹 대응을 위해 4천만 달러(약 560억 원) 투자 계획, 자국 우선주의 노선이 강조되며 국내 대응책 마련이
강조
- 미 정부 자국 내 바이오 제조를 선언하며, 우리 정부도 바이오 제조기업 대상 세제 혜택 및 해외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등 정책 수단
동원할 필요
- 국가전략기술에 미래 바이오산업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는 합성생물학 분야를 포함하여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 지배적
더불어, 국내 감정 분야에 대한 강한 경쟁력을 위해 바이오의약품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각적 지원 방안 강구할 필요
출처 : 메디컬타임즈, 22.9.26
○ 美 에너지부(DOE), 바이오에너지 기술 발전을 위해 1억 7,800만 달러 발표
▶미국 에너지부는 지속가능한 기술혁신을 발전시키기 위한 바이오에너지 연구에 최대 5년간 1억 7,800만 달러 투자 발표
- 바이오에너지 작물, 산업용 미생물 및 마이크로바이옴의 첨단 생명공학 R&D를 지원하며, 대체 청정 에너지원은 2050년까지 Net-zero
목표달성에 핵심 역할
- 에너지부 Jennifer M. Granholm 장관은, 식물, 식품 및 폐기물과 같은 유기 물질에서의 더 저렴한 에너지 생산을 통한 탄소 오염의 대기
도달 방지 언급
○ 과기정통부, ‘R&D 디지털전환 촉진방안’ 발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 연구개발(R&D)의 효율성과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디지털 트윈과 AI을 활용한 R&D 현장 의 디지털화 추진
- 디지털트윈 등 스마트랩 모델을 80개 개발하고 2027년까지 2000억원을 투입해 디지털로 전환된 9개 R&D 사업을 진행키로 함
- 주요 추진과제로 첨단기술과 디지털 융합연구를 활성화하고, 연구데이터의 수집·활용 체계를 고도화하며, 디지털 전환 연구기반을 조성하
는 등 3대 추진전략과 10대 세부과제를 설정해 이행해 나갈 예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비용편익분석: '합성생물학 개발·실험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2024-10-07
- BioINwatch 합성생물학과 생체전자공학이 융합한 Living drug 2024-07-0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