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프리미엄 백신 개발전략 연구

  • 등록일2022-10-25
  • 조회수3554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10-24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백신개발
  • 첨부파일

 

 

프리미엄 백신 개발전략 연구


 

◈ 목차

⑴ 서론
⑵ 프리미엄 백신 시장 분석
⑶ 프리미엄 백신 개발과정 분석
⑷ 가치사슬 단계별 기술혁신 특징과 성공요인
⑸ 결론 및 정책 제언
 

 

◈본문

■ 프리미엄 백신 시장 분석
 프리미엄 백신은 '국가필수무료백신 이외에 추가적인 면역 형성이 필요하여 사용되는 고품질, 고부가가치의 백신'으로 정의된다. 프리미엄 백신의 종류에는 대상포진, 수막구균, 로타바이러스, 결핵(BCG, 경피용) 백신, 폐렴구균, 사람유두종바이러스, A형 간염 백신 등이 포함된다.

• 프리미엄 백신은 일반 필수예방접종 백신보다 가격이 높고, 글로벌 제약사들이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성인 위주의 접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 폐렴구균 백신은 고령층에서 유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하면서 접종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폐렴구균은 백신 개발에 적용된 기술에 따라, 단백접합 백신과 다당질 백신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인 단백접합 폐렴구균 백신에는 Pfizer의 프리베나13과 GSK의 신플로릭스가 있고, 다당질 백신은 MSD의 뉴모백스23이 대표적이다. 전체 시장의 80% 이상을 프리베나가 점유하고 있다.

• 대상포진 백신은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접종의 필요성이 증가했다. 개발 기술에 따라서 재조합 백신과 약독화 백신으로 구분된다. 지금까지 개발된 대상포진 백신에는 GSK의 싱그릭스, MSD의 조스타박스, SK바이오사이언스의 스카이조스터 3가지가 있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전체 시장의 90% 이상을 싱그릭스가 점유하고 있다.

• 자궁경부암의 발생의 주요 원인인 사람유두종바이러스의 감염은 2000년대 이후 발생률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시판된 자궁경부암 백신은 GSK의 서바릭스와 MSD의 가다실 2종류인데, 이 두 백신 모두 바이러스 유사입자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가다실이 전체 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한다.

• 로타바이러스 백신은 저개발국과 선진국 모두에서 발생률이 높아 접종이 권고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백신으로는 경구용 생백신인 MSD의 로타텍과 GSK의 로타릭스 두 가지가 있으며, 두 제품이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 프리미엄 백신 개발과정 분석

• 폐렴구균 백신은 1977년에 최초로 14가 다당질 백신이 허가를 받았다. 다당질 백신은 초기 폐렴구균 백신의 핵심 기술로, 박테리아 표면의 다당체를 항원으로 하는 백신이다. 하지만 유·소아에게서는 B세포의 미성숙으로 인해 T세포의 도움 없이는 충분한 면역 반응을 기대 할 수 없어, 캡슐 다당류에 몇 가지 다른 단백질을 접합시킨 백신이 개발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