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KEIT PD 이슈리포트 2022-10월호 : 이슈3(차세대 광소자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

  • 등록일2022-11-10
  • 조회수3074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0-26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ICT 신기술#광소자
  • 첨부파일
    • pdf 이슈3_차세대 광소자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_스마트전자PD (6).p... (다운로드 15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차세대 광소자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


 

◈ 목차

⑴ 광소자 개요
⑵ 차세대 광소자로의 기술 패러다임 전환
⑶ 광소자를 포함한 광융합 시장규모, 플레이어 동향, 차세대 광소자 전망
⑷ 차세대 광소자 신시장선점을 위한 이슈와 과제
 

◈본문

  • 4차산업혁명 ICT新기술(AI, IoT, 빅데이터) 핵심부품인 차세대 광소자의 혁신제조新기술확보와 글로벌 선도 수요산업의 초격차 달성 융복합기술 개발 시급

  • AI, IoT, 빅데이터의 全산업 확산에 따라 기존 광소자의 한계를 돌파하는 초소형, 초정밀, 다기능의 차세대광소자를 적용한 혁신제품이 시장을 재편 중
    * (예) 초실감 디스플레이, 자율주행 고감도 센서, 임플란트형 첨단의료, 고정밀 제조장비 등

  • 美, 日, 中 광관련 글로벌 선도기업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미래광소자 新시장선점을 위해 핵심기술확보, 첨단공정전환 및 내재화와 동시에 수요-공급 가치사슬의 전략적 제휴를 강화하여 승자독식형 기술장벽을 구축 중

  • 국내 광관련 대기업 및 전문 중견기업은 TV, 핸드폰 등 글로벌 우위산업을 중심으로 일부 핵심부품 기술개발, 상용화 중이나 자율차, 첨단장비, 첨단의료 등 미래新산업 기술패러다임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생태계는전반적 취약


  • 시사점 및 정책제안

  • 가격경쟁이 심화되어 가는 기존 소품종 대량생산의 중간재 제조, 임가공·위탁생산 체계를 탈피하고 대형 新시장 개화가 예상되는 주력 품목을 중심으로 국내 광산업 재도약을 견인하는 혁신 新기술·新공법의연구개발 및 보급·확산 필요

  • 고부가가치 미래新산업으로의 차세대 광소자 산업생태계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의 상용화 타당성(feasibility) 조기검증, 비즈니스 모델(BM)에 따른 가치사슬 협업체계구축, 관련 표준·인증·제도 정비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