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22년 11월 1주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리포트

  • 등록일2022-11-10
  • 조회수2873
  • 분류기술동향 > 자연 > 화학
  • 자료발간일
    2022-11-08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기술
  • 첨부파일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리포트


 

◈ 목차

⑴ 미국
⑵ EU
⑶ 중국
⑷ 일본
⑸ 국내
⑹ 기타

  

◈본문


 미국_ R&D_배터리에서 정수기까지, 탄소나노튜브의 활용 분야 확대


○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 연구팀은 다양한 상용 제품에 혁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의 생산 규모를 확대


○ 연구팀은 가스 탄소 전구체의 벌크 확산이 지배적인 성장 영역에서 웨이퍼 규모로 생산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CNT)의 구조적 특성이 다양한 공정 조건에서 현저하게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


○ 전구체 농도와 가스 유속을 최대 30배와 8배 높이고 촉매담체 면적을 1cm2에서 180cm2로, 성장 압력을 20Mbar에서 790Mbar로 늘렸을 때, SWCNT는 높은 품질을 유지


○ 이러한 SWCNT는 리튬 이온 배터리, 열 인터페이스 재료, 정수기, 슈퍼커패시터, 통기성 직물, 센서 등에 활용 가능



 

 새로운 하이브리드 구조, 양자컴퓨터 안정성 강화에 기여

 미국 Cui-Zu Chang 교수(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연구팀은 분자빔 에피택시(MBE)를 이용해 토폴로지 절연체 막(Bi2Se3)과 초전도체 막(NbSe2)을 합성 및 조합해 토폴로지 초전도 현상 연구에 적합한 2차원 이종구조를 개발


○ 연구팀은 극저온 조건에서 이종구조를 합성해 토폴로지 특성과 초전도 특성을 모두 유지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때 강자기장으로 인해 전자 Cooper 쌍이 해체되지 않도록 Ising-type 초전도성을 띠는 단분자층 초전도체 막을 이용해 면내자기장에 대한 Cooper 쌍의 강건성을 강화


○ 또한 토폴로지 절연체 두께 미세조정 과정에서 이종구조의 초전도성이 Ising-type(전자스핀이 막에 직교)에서 Rashba-type(전자스핀이 막에 평행)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


○ 이 이종구조는 Majorana 페르미온 연구에 적합한 토대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토폴로지 양자컴퓨터의 안정성을 강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