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제227호 과학기술&ICT동향(미국,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혁신 기술 제시)
- 등록일2022-11-30
- 조회수2897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1-30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ICT
- 첨부파일
제227호 과학기술&ICT동향(미국,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혁신 기술 제시)
◈ 목차
1. 이슈 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 주요 내용 및 국내 영향과 시사점
2.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혁신 기술 제시
미국, 산업별 프렌드쇼어링 현황 분석
일본, 디지털 사회 실현을 위한 문부과학성의 중장기 계획 공표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회 보고내용 전문 발표
중국, 14.5 기술 요소시장 특별사업 계획에 관한 통지 발표
영국, 첨단소재 개발 R&D에 9,500만 파운드 지원
OECD, 우주 공간 활용의 환경 변화 분석
2) ICT
메모리반도체 업계, 초격차 기술력으로 성장 돌파구 마련
재택근무 시대 블루오션 '협업 툴(Collaboration Tools)' 시장 활기
전기차 시장 확대일로···구독 서비스 확산 등 업계 행보 활기
美·中, 완성도 높은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시범운행 활발
일본, 새로운 반도체 연합회사 출범···반도체 산업 재건 행보 속도
니켈 매장량 세계 1위 인도네시아, 전기차 산업 격전지로 부상
3.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4. 주요 통계
◈본문
Ⅰ. 유럽 반도체 법안 주요내용 및 국내 영향과 시사점
1. 배경
■ 유럽 반도체 산업의 주요 특성
○ 유럽은 전 세계 반도체 수요의 약 20%를 차지하지만, 공급능력은 약 10%대에 머물며 제3국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
※ 글로벌 반도체 시장 수요 점유율(’20년) : 미국(25%), 중국(24%), EU(20%), 일본(6%) 등
※ 글로벌 반도체 시장 공급 점유율(’20년) : 중국(35%), 미국(19%), EU(15%), 대만(15%) 등
< 국가별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점유율 >
○ 유럽의 반도체 산업은 반도체 기술, 제조 장비 및 일부 원자재 수급에 강점이 있으나, 생산역량은 주요 경쟁국에 비해 뒤쳐짐
- (기술) 반도체 미세화 공정기술인 극자외선 리소그래피(EUV) 및 완전 공핍형 실리콘 인슐레이터(FDSOI)를 개발하는 등 첨단기술을 선도
- (제조) EU산이 반도체 제조 장비 분야에서 첨단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의 약 23%를 점유하고 있음
- (원자재 및 실리콘 웨이퍼) 반도체 기판 및 제조에 사용되는 일부 가스류 등은 글로벌 시장의 14%를 차지하고 있음
- (생산 및 패키징) 유럽의 반도체 생산은 대부분 반도체 생산을 위탁하는 팹리스 방식으로 이뤄져 있으며, 제조와 조립, 후공정은 글로벌 시장의 7% 수준으로 낮은 편
< 반도체 공급망 세부 공정별 EU 시장 점유율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