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ISTEP 브리프]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 등록일2022-12-01
- 조회수3311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22-12-01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
- 첨부파일
[KISTEP 브리프]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 목차
⑴ 제1장 개요
⑵ 제2장 기술동향
⑶ 제3장 산업동향
⑷ 제4장 정책동향
⑸ 제5장 R&D 투자동향
⑹ 제6장 결론
◈본문
제1장 개요
1.1. 작성 배경
■ 제조, 건설, 스마트시티, 의료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로 급부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全산업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되고 있음
▪각국은 디지털 전환을 실현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 디지털 트윈*을 주목하여, 주력 산업 및 기반시설에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음
*디지털 트윈은 실제 사물의 물리적 특징을 동일하게 반영한 쌍둥이(Twin)를 3차원 모델로 구현하고, 현실과의 동기화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당 사물에 대한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기술
- 도시・산업 혁신,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 디지털 트윈 활용을 통해 의사결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거나 가상시험 적용을 통한 위험 회피, 예방적 대처가 가능
- 2020년 기준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은 약 3조 6천억 원 수준이며, 우리나라는 690억 원으로 약 1.9% 수준이나, 향후 연평균 70%의 고성장이 예상
■ 최근 데이터 분석기술 고도화, 웨어러블기기 등장에 따라 디지털 트윈이 의료데이터와 접목되면서 헬스케어 분야에서 맞춤형 정밀의료, 혁신적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짐
▪ 정밀의료와 예방의학 도입 등의 핵심에는 개인화된 의료데이터와 질병에 대한 예측등 디지털 트윈 기술과의 접점이 존재
- 최근 10년간 헬스케어데이터가 약 15배 증가2)하고, 딥러닝 기술을 통해 비정형 데이터*분석이 용이해지면서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적용 기반이 마련됨
*데이터필드 등 정해진 규격과 형태가 적용되지 않는 의료영상, 이미지 등의 데이터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