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주간기술동향 2075호(디지털트윈 기반 고위험 장비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 등록일2022-12-09
- 조회수2957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2-07
-
출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정보통신#인공지능#빅데이터#디지털트윈
- 첨부파일
주간기술동향 2075호(디지털트윈 기반 고위험 장비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 목차
Processing-in-Memory 반도체 기술 동향
I. PIM 시장 현황
II. SRAM 기반 PIM 기술 동향
III. DRAM 기반 PIM 기술
IV. ReRAM 기반 PIM 기술
V. 결론
유니콘 생태계 M&A 활성화를 위한 IP-R&D 전략
I. 서론
II. 4차 산업혁명과 유니콘 생태계
III. 유니콘 EXIT 전략으로서의 M&A
IV. 유니콘 가치 성장을 위한 IP-R&D 전략
V. 결론
디지털트윈 기반 고위험 장비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I. 연구 개요
II. 연구 목표 및 내용
III. 국내외 기술ㆍ시장 동향 및 전망
IV. 기대효과
◈본문
■ Processing-in-Memory 반도체 기술 동향
I. PIM 시장 현황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라 산업 및 사회 전반에서 반도체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뇌와 같은 저전력이면서 병렬처리가 가능한 컴퓨팅의 연구가 지난 수십 동안 연구가 계속되었다. 기존 폰노이만 구조는 연산과 메모리의 데이터 이동에 따른 문제점은 여전히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메모리 중심의 컴퓨팅 기술인 PIM(Processing-In-Memory) 기술이 최근 관심을 받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반도체는 의료, 교육, 제조업, 국방 분야 등 사회 전반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신개념의 PIM 반도체는 메모리 중심의 반도체 기술로 세계 최고의 메모리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 산업이 그 동안 CPU, GPU 중심의 인텔, AMD, NVIDIA 등이 주도하는 반도체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기회이다. 본 고에서는 PIM 기술에 대한 최근 기술 동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인공지능반도체 기술에 대한 역할을 살펴보고, 차세대 반도체 구조인 PIM 방식에 대한 개발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 유니콘 생태계 M&A 활성화를 위한 IP-R&D 전략
본 고에서는 최근 경제의 한축을 차지하고 있는 벤처∙유니콘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 활성화를 위한 M&A와 IP-R&D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II장에서는 유니콘 EXIT 전략으로서의 M&A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III장에서는 유니콘의 가치 성장을 위한 IP-R&D 전반의 전략에 대해 다룬다. IV장에서 본 고의 결론을 제시한다.
■ 디지털트윈 기반 고위험 장비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공장 내의 고위험 설비에 대한 가상시운전과 3D DATA 실시간 연동을 통한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을 개발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새로 적용되는 중대 안전사고대응 법을 준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 리포트(R&D 나노바이오: '한번 맞으면 모든 독감 예방'_새 mRNA 백신 효과 입증)
-
다음글
-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TPD, Targeted protein degradation) 및 그 파생기술 연구 동향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