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신약개발 Global Trend 분석-ADC(Antibody Drug Conjugates) 치료제

  • 등록일2022-12-20
  • 조회수403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12-15
  • 출처
    국가신약개발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ADC 치료제#신약개발
  • 첨부파일


[주제목]  신약개발 Global Trend 분석-ADC(Antibody Drug Conjugates) 치료제


 

◈ 목차

⑴ 서론
⑵ ADC 치료제 허가내역
⑶ 기술이전 현황
⑷ ADC 치료제 인상시험 현황
 

 

◈본문

1. 서론

항체-약물결합체(Antibody Drug Conjugates, ADC)가 차세대 항암제 플랫폼으로서 전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Grand view research(2022)는 ADC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2년 약 58.1억 달러(한화 약 7조 5912억원)에서 2026년 약 130억 달러(한화 약 16조 9856억원)로 연평균 22%의 성장률을 보이며 항암제 분야의 대세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아스트라제네카-다이이찌산쿄의 ‘엔허투(성분명: Trastuzumab deruxtecan)’, 길리어드의 ‘트로델비(성분명: Sacituzumab govitecan)’가 올해 임상 3상 시험 결과를 통해 표준요법 대비 유의미한 임상적 이점을 제시하여 전이성 유방암의 치료 패러다임 변화 및 새로운 치료 옵션 제공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등 항암 치료제로서 ADC 개발에 대한 관심은 점점 커지고 있다.


지난 11월 16일 미국 식품의약품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이 이뮤노젠의 ‘엘라히어(성분명: Mirvetuximab soravtansine-gynx)’를 난소암 치료제로 가속 승인 하였고, 글로벌 제약사들의 ADC 개발 수요 증가 및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한 기술 거래 또는 임상시험 수행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 ADC 치료제 허가내역

2000년 '마일로탁(성분명:Gemtuzumab ozogamicin)'의 첫 품목허가 이후, 2011년 '애드세트리스(성분명:Brentuximab vedotin)'에서 2022년 11월 '엘라히어'에 이르기까지 현재 총 12개의 제재가 FDA로부터 항암제로 승인을 받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