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해상 풍력발전
- 등록일2022-12-28
- 조회수2763
- 분류기술동향 > 자연 > 수학・물리학・지구과학
-
자료발간일
2022-12-23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풍력발전
- 첨부파일
[KISTEP 브리프 53] 해상 풍력발전
◈ 목차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 동향
제3장 산업 동향
제4장 정책 동향
제5장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본문
제1장 개요
1.1 작성 배경
■ 지구온난화를 1.5℃로 제한하고, 2050년까지 Net Zero *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전 세계 풍력발전 누적 설치 규모 기준 약 3,000GW까지 필요 (GWEC)
○ 이는 신규 육・해상 풍력터빈의 신규 설치 규모가 현재의 연간 100GW에서 연평균 12~17% 규모로 성장, 2030년에는 현재 시장의 4배 규모로 성장할 것을 의미
○ 기술적 한계 및 주민 수용성 등으로 인해 육상 풍력자원만 활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목표 달성을 위한 신규 투자 증가속도는 해상 풍력발전이 더욱 가파를 것
※ ’21~’25년 글로벌 신규 발전용량 증가율 : (육상) 15.7%, (해상) 113.4% (출처: KDB산업은행,풍력발전 현황 및 산업동향, 2022.2.)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적 발전 특성으로 인해 풍력, 태양광 등 다양한 에너지원 구성의 ‘Energy Mix’가 중요, 전 세계적으로 풍력발전 보급은 지속 확대될 것
○ 풍력・태양광은 바람 또는 햇빛의 정도에 따라 발전량이 결정되어 예측 가능성이 낮아, 전체 전력망 안정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원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