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영국, 생명과학 분야 기술개발 검토 보고서 발표

  • 등록일2023-01-04
  • 조회수2829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영국, 생명과학 분야 기술개발 검토 보고서 발표

 

 

◈본문

□ 영국 연구혁신기구 산하 생명공학생물과학연구회(BBSRC)는 생명과학 분야 주요 연구개발 지원 시스템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언*(’22.11.)

* Review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biosciences

 

 

ㅇ BBSRC는 전반적인 연구개발 지원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토하고 지원 시스템에 대한 관련 집단의 인식 차이를 파악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이를 위해 BBSRC의 연구 포트폴리오 등과 관련하여 연구자 집단 및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자문을 구했으며, 190여 명이 리뷰 과정에 참여함

 

 

ㅇ BBSRC에서 생물학 분야 기술개발을 위해 자금을 지원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Tools Resource Development Fund(TRDF)*

생물학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차세대 도구기술자원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2006년부터 시작되어 4,760만 파운드로 63개 기관의 388개 프로젝트를 지원

 

이 외에도 생물학 분야의 연구는 BBSRC와 EPSRC*, MRC**가 공동 지원하는 Technology Touching Life(TTL), BBSRC의 기본 연구비인 responsive mode 등을 통해 지원됨

공학물리학연구위원회(Engineering and Phys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 의학연구위원회(Medical Research Council)

 


ㅇ 연구 주제 검토 결과기술개발을 위한 다학제 연구가 활발했던 것으로 확인됨

기술개발과 BBSRC 연구 주제의 연계성(2018/19~2020/21)

그러나 대부분의 자금이 기술개발의 초~중반 단계를 위해 지원된 반면후반부 지원은 기회 및 기준의 명확성 측면에서 부족함이 있다는 의견이 제시됨

또한 BBSRC에서 지원한 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중 소프트웨어인공지능머신러닝 분야에 대한 지원이 1/3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본 검토 보고서는 생물학 분야의 지속적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7가지 권장 사항을 제시함

(1) 다양한 유형과 단계의 기술 개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포괄적인 지원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관련 투자를 증가시켜야 함

(2)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기 위해 동료 검토(peer review)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함

(3) 장단기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다학제 협력 및 혁신이 가능한 인재를 육성해야 하며특히 검토 과정에서 주요 스킬 격차로 조사된 코딩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스킬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

(4) 생물학 분야 기술 개발에 있어 연구 기술 전문가(research technical pro- fessional)의 역량과 역할을 증진해야 함

(5) 다양성 및 팀워크를 향상함으로써 보다 개방적이고 역동적이며 포용적인 기술개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함

(6) 기술개발 연구자 그룹의 다학제 연구 참여를 증진하는 메커니즘을 개발해야 함

(7) 기술개발에 필요한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기회를 모색해야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